문무대왕릉비 연구-제2권-비문 뒷면 해석

비문 뒷면 22행 해석-건비봉헌일

문무대왕 2025. 4. 3. 10:47

비문 뒷면 제 22

 

    卄五日景辰建碑    大舍臣韓訥儒奉

 

卄五日景辰

()情況(정황), 상황을 뜻하는 말로 年景, 景象 등의 말이 있다. 

()辰日(진일)을 말하고 吉日良辰(양진길일)이라는 말과 같다.  유자산의 주사원구가에서의 日至大禮 犧上辰표현이 상진을 길일이라고 보는 것을 말해준다. 

상진을 양진(良辰)이라고도 말하고 이 길일(吉日)의 표현하는 말로 佳辰(가진)이 있다.  송나라 응천장(應天長) 시에 恁好景佳辰이라는 표현이 나오니, 비문에서의 景辰景佳辰의 의미이다.  () 卄五日”(25)이 길일에 해당되었다.

음력 682 7 25일을 양력으로 환산하면 682 9 2일이 되는데 이 날은 농력으로 丙辰(병진)일이었다. 따라서 경진(景辰) 길일에 해당되었다.


평양 남쪽 남포 덕흥리 고분 벽화에서 길일길시를 택일하는 5세기 초 당시 풍습을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음을 참조하라. 

1976년 발견된 남포 덕흥리에 위치한 고구려 고분 벽화 묵서에는 묘지의 방위각과 길지를 택하고-相地(상지), 길일을 택하고-擇日(택일), 좋은 시간대까지 정해 고르는-時選(시선)을 행하는 매장 풍습을 생생히 전해 주고 있다. 

 

周公相地孔子擇日武王選時歲使一良구절이 그것이다.  여기서 주공 공자 무왕은 풍수지관을 경칭으로 부르는 말이다.  따라서 이 구절의 번역은 묘지를 고르고 또 묘 쓰는 날짜와 그 시간까지를 길일로 택해서 모두 한결같이 좋았다는 의미이다.  또 이 구절의 앞에 나오는 太歲在戊申十二月辛酉朔廿五日乙酉묵서의 구절은 60갑자 세차 즉 목성의 공전주기 12년에 기초한 역법을 쓰는 태세신앙을 말해주는데 태세신앙은 곧 지신 신앙에 해당한다.  태세 지신은 목성의 운행주기를 따라 움직이고, 따라서 묘지나 건축 공사 등을 할 때 방위와 택일을 크게 중요시한 신앙이었다.  예전에는 건축 공사 등은 물의 흐름과 대지 기반 그리고 기상 여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 일이었으므로 방위 선택과 택일 선택은 매우 중요하게 취급하였다.

 

문무왕릉비의 건립 연도 추정

유희해는 다음과 적었다: “善德王陵下開耀元年金  撰名缺韓訥儒書碑斷損令存殘石四片案東國通鑑新羅文武王金法敏武烈王長子龍朔二年立開耀二年七月薨諡曰文武在位二十年”. 문무왕이 개요2년에 薨훙 서거했다고 적어 두었는데, 이 역사적 사실은 동국통감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구당서 본기권5 고종하 개요원년 681 10월 기사를 보자. 冬十月 丙寅朔 日有蝕之 乙丑 改永隆二年 開耀元 曲赦定襄軍及緣征突厥官吏兵募等 丙寅 斬阿史那伏念及溫傅等五十四人於都市 丁亥 新羅王金法敏薨 仍以其子政襲位”.

개요원년 음력 10월달 정해일은 농력 서기 681 10 22일 이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12 7일이 된다.  개요원년 동10월 정해일에 신라왕 김법민이 서거했고 그의 아들 정이 왕위를 이었다고 적혀있다.  681년 음력 10 10일은 양력으로 11 25乙亥(을해)일이 된다.  따라서 문무왕릉 비문의 10 10일에 장례식을 치렀다는 해석은 구당서의 문무왕 서거일자와 실제로 거의 비슷한 날짜가 된다. 

그날 눈발이 날렸다는 해석 또한 한국에서 첫눈이 내리는 계절이 대체로 11월말경 또는 12월초 경이 되므로 당시의 기상 기후와도 거의 일치된다.  따라서 삼국사기에서 기록한대로의 屬纊之後十日”(속광지후십일) 7 1일 운명했으므로 7 10일이 문무왕의 장례식이 거행된 것이 아니라 겨울철 음력 10 10일이라고 합리적인 추측을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문무왕릉 비문의 其月十日”(기월10) 681년 음력 10 10일로 추측된다.

 

당시 당나라 연호의 한 해 시작은 10월 상달에 시작되었으므로, 요사이의 정월에서 12월 달력식으로는 햇수가 겹치게 보일 수 있고 또 재정이 시작되는 시기나 또는 계절 학기가 시작되는 시기가 태양력과 달랐다는 당시의 사정 때문에 훗날 사서 작성시 약간의 차이가 날 수 있다. 문무왕이 개요2년 즉 682년에 서거했다는 사실은 당나라에서 문무왕의 공식적인 국장 거행 시기에 당나라에서 조문 사절단을 파견했다는 그런 사실에 근거할 것 같다.  이런 구당서의 사서 기록에 의거하여, 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무왕의 장례식 날짜를 삼국사기에서 기재한대로의 7 10일이 아닌, 10 10일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영호의 판독문은 삼국사기의 문구를 그대로 삽입 제시하고 있는데, 그에 대한 신빙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이영호가 제시한 결자부분을 보충하는 문장 내용은 그 문장의 글자수가 비문에서 표기가능한 범위의 글자수를 훨씬 초과하기 때문이다.

□□□□□□□□□□終成一封之上樵牧哥其上狐穴其傍
徒費資財貽譏簡牘空勞人力莫濟幽魂靜而思之傷痛無已如此之類非所樂焉屬纊之後依西國之式以火燒葬即以其月十日大

위와 같은 제시문은 52자이므로 비문에 새길 수 있는 최대 가능 글자수 44자를 훨씬 초과하는 문장이 된다. 따라서 이영호의 제시문은 신빙성이 부족하다.

 

建碑    大舍臣韓訥儒奉

왕릉비석을 건립한 날짜를 적고 있는데, 그 부분은 마멸되고 떨어져 나가고 없어져서 정확하게 그 내용을 알 수 없다.  卄五日景辰으로 적고 있다. 25일 경진 길일에 이 비를 건립하다.      12관등 대사직 신하 한눌유가 명령을 받들어 완수하다. 

建碑    

건비 다음의 결자 부분은 立廟饗祭입묘향제라는 표현이 적절한 내용으로 추측된다. 문무왕대에 지었다는 천왕사가 입묘향제의 사실을 입증해 줄 것이다. 진서 양羊祐양우전에 平生遊憩之所 建碑立廟 歲時 饗祭焉 望其碑者 莫不流涕 杜預因名墮淚碑의 표현이 나온다. 歲時세시는 일년 사계절을 뜻하는 단어이다. 

 

大舍
대사는 관등명으로 隋書(수서) 東夷傳 新羅 보면, 신라 관등 체제에서 제12위에 속했다.  비문을 지은 사람은 급찬 국학소경 신 김▨▨이라는 관등성명의 기술 양식에 비추어 본다면 대사 신 한눌유 봉이 글자 앞의 공간에 관직명이 들어 갈 있을 개연성이 높기는 하나, 비문을 비석에 새긴 대사 신 한눌유의 관직 명이나 출신부가 어떤 것인지는 이 부분이 결자 또는 비어 있는 공간 부분이어서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진흥왕 순수비 중 마운령비에 나타난 수행명단 기록을 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데, 대사라는 관직이 무슨 업무를 담당하였는지 대강 추측할 수 있다.

진흥왕의 국경 순찰 행차에 수행한 사람들의 명단을 다음과 같이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진흥왕 마운령 순수비

       
관직(직업) 출신부 이름 관등
사문도인 沙門道人   법장 法藏, 혜인 慧忍  
대등
大等
훼부
喙部
거칠부지 夫智 이간
伊干
    내부지
內夫智
이간
伊干
  사훼부 沙喙部 영력지
另力智
잡간
  훼부
喙部
복동지
服冬知
대아간 大阿干
    비지부지 比知夫知 급간
及干
    미지
未知 (급진부지 夫知)
대나말 大奈末
(
나말
奈末)
집가인
執駕人
훼부
喙部
방혜
方兮  ·
대사
大舍
  사훼부
沙喙部
영지
另知
대사
大舍
이내종인 裏內從人 훼부
喙部
몰혜차
沒兮次  
대사
大舍 ·
  사훼부 沙喙部 비호지
非尸知
대사
大舍
약인
𩥩
사훼부 沙喙部 위충지
爲忠知
대사
大舍
점인
占人  
훼부
喙部
여난
與難
대사
大舍
약사
藥師
  마지차
䔍支次
소사
小舍
나부통전 奈夫通典 본피부 𣷭 가량지
加良知
소사
小舍
▨▨ 본피부 𣷭 막사지
莫沙知
길지
吉之
급벌참전
及伐斬典
훼부
喙部
부법지
夫法知
길지
吉之
이내 ○
裏內
  길지
吉之
당래객
堂來客,
  50  
이래객
裏來客
     
외객
外客
     
○○   사간 沙干
조인
助人
사훼부 沙喙部 순지
舜知
나말 奈末

 


() 드리다, 바치다의 奉上(봉상) 뜻으로 명령을 받들어 모시고 그 주어진 임무를 삼가 수행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侍奉(시봉)하다는 누구의 시중을 들다는 뜻이고, 奉祠(봉사) 祭祀(제사), 奉祀(봉사) 제사를 받들고 모시다 供奉祭祀(공봉제사) 뜻이다.

 

비문 제22행 요약

    卄五日景辰建碑  25일 경진 길일에 이 비를 건립하다
大舍臣韓訥儒奉 12관등 대사직 신하 한눌유가 명령을 받들어 완수하다

 

신라 17관등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등수 이름 가능한 신분
1 이벌찬(伊伐) 진골
2 이찬()
3 잡찬(迊湌)
4 파진찬(波珍)
5 대아찬(大阿)
6 아찬() 6두품
7 일길찬(一吉)
8 사찬()
9 급찬()
10 대나마(大奈麻) 5두품
11 나마(奈麻)
12 대사(大舍) 4두품
13 사지(舍知)
14 길사(吉士)
15 대오(大烏)
16 소오(小烏)
17 조위(造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