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대왕릉비 연구-제4권-역사혁명

역사 혁명: 문무대왕 유언 비밀 해제-목차

문무대왕 2025. 4. 16. 12:23

역사 혁명: 문무대왕 유언 비밀 해제

 

차례

 

......................................................................................................

 

    내용
           
0       일러두기 11
        책을 발간하면서 15
           
           
1       들어가기 23
  1.     이 책의 주요 내용 요약 23
    (1)   삼국사기 문무왕의 유조문은 당태종 유조문을 도용하고 표절한 것  
    (2)   심각하고 중대한 도용과 표절의 범죄행위가 미치는 영향과 범위  
    (3)   왜 여지껏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의 도용과 표절 사실이 밝혀지지 못했을까? 30
      a 식민지 사학과 주체 상실 -식민지 지배로 전락 & 역사 조작의 적폐 33
      b 역사 교육 방법론의 부실 37
        역사에 대한 시각과 관점  
        탐구 학습 교육 방법론 & 소크라테스 질문법 39
      c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부재 43
        왜 많은 사람들이 창의적인 자신만의 생각을 해내지 못할까?  
           
2       리서치 조사연구 원칙, 방법론, 연구 성과 사회 공헌도 48
  1.     리서치의 개념과 연구 윤리 책임  
        지적 독립성, 당파성 배제 원칙, 자기 책임 원칙 50
        자기 책임성과 매천의 행동하는 지식인의 표상 56
  2.     연구 방법론 58
  3.     학제간 통합 연구의 필요성 61
        왜 역사학에서 정치 권력의 역사만이 선택되었고 종교나 문학의 역사는 빠졌을까? 62
        혁명의 시기 66
  4.     명심보감과 성경-개인적 의미 69
        사과나무와 지혜의 열매 70
  5.     연구 성과 사회 공헌도 73
  6.     향후 변화 예측 77
        담대한 예측 & 요원의 불길  
        역사의 혼과 역사 발전론 80
  7.     유신庾信의哀江南賦애강남부의楚歌非取樂之方 魯酒無忘憂之用 追爲此賦 聊以記言 不無危苦之辭 惟以悲哀爲主구절 의미 83
           
3       당태종唐太宗 유조문 번역 & 해석 103
  1.     당태종 유조문 원문  
        당태종 유조문 독음  
  2.     당태종 유조문 번역 108
  3.     당태종 유조문 어휘 주해 114
      A 1문단  
      B 2 문단  
      C 3 문단  
      D 4 문단  
      E 5 문단  
      F 6 문단  
      G 7 문단  
      H 8 문단  
      I 9 문단  
      J 10 문단  
      K 11 문단  
      L 12 문단  
      M 13 문단  
      N 14 문단  
      O 15 문단  
      P 16문단  
  4.     당태종 유조문 어휘 추가 해설 137
        천명론  
        天子之尊 赤縣先其司牧 천자지존 적현선기사목  
        정반합 통합 발전론  
        橋山之樹已陰 業致昇平-교산지수 & 조상의 음덕  
        黃帝 황제 & 商湯 상나라 시조  
        辛李衛霍之將 신이위곽 명장  
        神不滅論 신불멸론 대논쟁 153
        薪盡火傳 & 靈光不滅 신진화전 영광불멸  
           
4 1.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과 당태종 유조문 비교 설명 160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과 당태종 유조문 전문 비교  
        삼국사 문무왕 유조문과 당태종 유조문 문장 구성 형식 비교 163
  2.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과 당태종 유조문 문장 내용 비교 설명 165
    1   自犯冒風霜 ó 自櫛風沐雨  
    2   運往名存 ó 道存物往  
    3   宗廟之主 ó 宗社存焉  
    4   喪制度 務從儉約 ó 園陵制度 務從儉約  
    5   太子早蘊離輝 ó 皇太子治 大孝通神  
    6   上從群宰下至庶寮 ó 凡厥百僚群公卿士  
    7   屬纊之後 十日 ó 屬纊之後 七日  
    8   服輕重 ó 其服紀輕重  
    9   可謂無愧於幽顯 無負於士人 ó 朕於天下士大夫 可謂無負矣 朕於天下蒼生 可謂安養矣  
    10   其邊城鎭遏 ó 軍國大事不可停闕  
    11   鑄兵戈爲農器 囹圄成於茂草 ó 破舟船於靈沼 收干戈於武庫  
    12   時當爭戰 西征北討 克定疆封 ó 蒼梧之駕方遠 至於平寇亂 安黎元  
    13   律令格式 ó 律令格式  
    14   主者施行 ó 主者施行  
5       문무왕릉비문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 당태종 유조문 상호연관성 190
    1.   문무왕릉 비문 앞면 제 12□詩禮之訓姬室拜梓之해석 193
        不言之敎 불언지교  
        橋梓之敎 교재지교  
        적친 희실 종실 종친 개념  
        詩禮之訓 시례지훈  
    2.   “□大唐太宗文武聖皇帝應鴻社□” 해석 221
        大唐太宗文武聖皇帝  
        應鴻社▨-秋鴻社燕 226
        應鴻社事애사지도 230
        당태종의 吊祭哀哭 조제애곡  
        先虧一 선휴일궤공  
           
6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과 칠애시 관련성 236
    1.   망국지음  
        나라의 운명이 나의 운명임을 깨달아-感彼雍門言 238
    2. (1) 장재의 칠애시 원문 & 독음 240
      (2) 장재의 칠애시 번역  
      (3) 장재의 칠애시 해설  
    3. (1) 之悲 호토지비 245
      (2) 아 목동아! 목동애가 狐成穴 童牧哀歌 249
      (3) 童牧哥其上 狐穴其傍 동목가기상 호토혈기방  
        徒費資財, 貽譏簡牘. 空勞人力, 莫濟幽魂. 靜而思之, 傷痛無已, 如此之類, 非所樂焉.
제범 당태종 유훈
 
7 1.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 서술 내용 비판 254
      A 寡人運屬紛紜 과인은 나라의 운運이 어지럽고  
        朕짐과 寡人과인의 표현 차이점.  
        천명론  
      B 上慰宗祧之遺顧 조상들의 남기신 염려를 위로하였고  
      C 下報父子之宿寃 부자父子의 오랜 원한을 갚았으며  
      D 疏爵均於內外 중앙과 지방에 있는 사람들에게 균등하게 벼슬에 통하게  
      E 驅黎元於仁壽 백성을 어질고 오래 살게  
      F 可謂無愧於幽顯 無負於士人 혼과 사람에게 부끄럽지 않았고  
      G 運往名存 古今一揆 奄歸大夜 何有恨焉 운명은 가고 이름만 남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므로, 갑자기 긴 밤으로 돌아가는 것이 어찌 한스러움이 있겠는가?         
      H 太子早蘊離輝 久居震位 태자는 일찍이 밝은 덕을 쌓았고 오랫동안 동궁의 태자의 자리에 있어서  
      I 宗廟之主 不可暫空 太子卽於柩前 嗣立王位 종묘의 주인은 잠시도 비워서는 안되므로  
      J 且山谷遷貿 人代推移 樵牧歌其上 狐兎穴其旁  
      K 徒費資財 貽譏簡牘 空勞人力 莫濟幽魂 靜而思之 傷痛無已 如此之類 非所樂焉  
      L 便於庫門外庭依西國之式以火燒葬 고문 바깥의 뜰에서  
      M 문무왕릉 비문 뒷면 8행 번역 & 해설  
      N 服輕重 自有常科 상복의 가볍고 무거움은 정해진 규정이 있으니  
      O 喪制度 務從儉約 장례를 치르는 제도를 힘써 검소하고 간략하게 하라  
      P 其邊城鎭遏及州縣課稅 於事非要者 宜量廢 변경의 성 진을 지키는 일과 주 현의 세금 징수는  
      Q 律令格式 有不便者 即便改張 율령격식에 불편한 것이 있으면  
  2.     五蘊오온 개념과 반야심경 색증시공 277
8       문무왕릉의 “□牧其上狐穴其vs삼국사기의 其上狐穴其 286
        문무왕릉 비문의 東征西”(동정서벌)과 삼국사기의 西征北討”(서정북토)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 국사편찬위원회 번역 비판 291
9      
웅략천황 유조문은 수고조의 유조문을 도용한 것
299
  1.     隋書 수고조 본기  
  2.     雄略天皇웅략천황 유조문-日本書紀卷第十四雄略天皇  
10       후기 303
  1.     후기1-지록위마 - 진시황제 유언장 조작 사건
외부의 적인가?  내부의 적인가? 
 
        알면서도 왜 진실을 말하지 못하는 것일까?  
        사슴을 보고 말이라고 우기는 권력과 진실을 말하는 순진한 바보  
  2     후기2-나는 왜 이 책을 썼는가? 308
        망국지음  
        반악 추흥부  
  3.     후기 3- 나는 어떻게 문무왕릉을 발견할 수 있었는가? 322
  4.     후기 4-글의 힘과 언령 신앙 336
        呵壁問天 하벽문천  
        침묵  
        탐구와 알림의 기쁨  
  5.     후기 5-영웅의 조건 343
        和氏之英 화씨지영-  
  6.     후기 6-이 책을 쓰게 된 동기 351
        (i) 순전한 에고이즘  
        (ii) 미적 추구 열망  
        (iii) 역사에 남을 기록 욕구 충동  
        (iv) 정치적 동기  
  7.     후기 7-연구결과가 감히 추사 김정희를 뛰어넘었다고 말한다면- 363
11       참고 문헌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