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반도 침략
일본의 한반도 침략 역사의 배경
역사상 일본은 한반도를 대략 4번 침입했는데, 그 첫 번째가 신공황후의 한반도 남부 도래, 두 번째가 백제 멸망직후 백제의 재건을 노린 오늘날 장항 군산 지역인 백천강 전투, 3번째가 풍신수길의 임진왜란이었고, 4번째가 한일합방으로써 조선을 식민지 지배에 성공하게 된 역사적 과정이 있다. 한일합방은 일본의 침략 입장에서 완전한 성공을 거둔 일이었는데 그것은 실패했던 임진왜란을 교훈삼아 오랜 시간에 걸쳐서 군사적 공격의 필요 없이 상대방의 실수와 물밑 작업을 통하고 점진적인 방법으로써 목적을 이뤄낼 수 있었다.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첫 번째 한반도 남부 접근로 확보를 목적으로 했던 신공황후 때의 출병은 목적 달성에 반반의 성공을 한 것으로 간주되고, 두 번째의 출병은 당나라와 신라의 군사적 협공에 초토화되어 완전한 군사적 패배를 겪었으며, 3번째 임진왜란 출병은 거창한 침입 목표를 달성하기는커녕 용두사미로 패퇴하고 말았으나, 4번째 한일합방 때는 오랜 시기에 걸쳐 은밀하고 교묘한 국제간의 외교적 술수와 군사적 양동작전의 접근방법을 통해서 성공시킬 수가 있었다.
첫 번째 일본의 군사적 진출이라고 믿는 신공황후 때의 임나일본부는 한반도 남부 지역에 영토적 거점을 확보했다는 주장인데 그 시기가 2세기에서 4세기 때이어서 한국과 중국의 역사적 기록으로 확인되지 못하고 있는 논란이 큰 주장이다.
하치만 신사는 일본의 대외 원정 즉 군사적 또는 무역적으로 해외 진출을 실행하고 장려하는 종교적 사상적 철학적 정치적 이론을 제공하는 그 핵심적이고 상징적인 신사에 해당한다.
충신장의 정치사상적 배경은 현재 세가 부족하고 힘이 없는 세력-도전자, 언더독(underdog)이 마침내 승리할 수 있게 되는지 즉 약자가 강자를 이기는 방법론을 철학적으로 제시한 것에 있다. 정치적인 면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현 막부 정권에 대항하여 천황세력이 어떻게 이길 수 있을 것인가, 국제적으로는 변방소국이 중원을 차지하는 방법 즉 작은 나라-일본-가 큰 나라-중국-를 이기는 방법을 함의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복수극으로써 충신장은 전쟁론-병법서의 내용을 깔고 있다. 사마천의 사기 열전-특히 자객열전과 오자서열전과 손자병법 등의 여러 사례를 거론하고 있으며, 그 사례들에 함의되어 있는 내용과 의미를 통해서 천황 세력과 막부 세력간의 정권 교체를 목표로 서로 대립 경쟁하는 정치적 사상적인 기초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