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대왕 2025. 4. 14. 12:04

7. 투후 상구성

 

 

1.    한서 공신표(景武昭宣元成功臣表) 商丘成(투후 상구성)

 

商丘成(상구성)(투후)에 봉해진 기사는 한서 공신표(景武昭宣元成功臣表)에 나타난다. 以大鴻臚擊衛太子 力戰 亡 侯 二千一百二十戶 대홍려 상구성은 반란을 일으킨 위태자 일당을 추격 역전분투하여 일망타도한 공로로 제후 작위를 수여받았고 제음현이 그 봉읍지로써 봉읍호수는 222십 호에 달한다.

 

시호성명 제후 봉작을 받게 된 구체적 공적 내용과 봉읍의 호수 봉작을 작위받은 시기 봉읍지
투후 상구성 ( 商丘成) 대홍려 상구성은 반란을 일으킨 위태자 일당을 추격 역전분투하여 일망타도한 공로로 제후 작위를 수여받았고 제음현이 그 봉읍지로써 봉읍호수는 222십 호에 달한다. 정화 2 (BC 91) 음력 7월 계사일에 봉했다, 이후 2년 뒤인 정화 4(BC 89)에 투후 상구성이 효문제 묘를 지키는 첨사로 좌천되었다. 상구성이 효문제묘 첨사로 있을 때 술에 취해 시를 지어 읊었는데 이 가운데 멀리 떨어져 있으니 어찌 울적한 마음을 달랠 수 있겠나라는 말이 황제에게 무례를 범한 대불경죄에 해당한다는 판결이 나오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제음현

 

이와 같이, 여태자의 무고의 반란을 진압 타도한 공로로 제후에 봉해진 사람은 상구성과 마통 그리고 경건이었는데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봉작 사실을 적고 있는 한서의 사서 기록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경제무제소제선제원제성제 공신표》             

시호성명 제후 후작을 받게 된 구체적 공적 내용과 봉읍의 호수 봉작을 작위받은 시기 봉읍지
투후 상구성 ( 商丘成) 대홍려 직위에 있던 상구성은 반란을 일으킨 위태자 일당을 추격하고 역전분투하여 일망타도한 공로로 제후 작위를 수여받았고, 제음현이 그 봉읍지로써 호수는 222십 호에 달했다. 정화 2 (BC 91) 음력 7월 계사일에 봉했다, 이후 2년 뒤인 정화 4(BC 89)에 투후 상구성이 효문제 묘를 지키는 첨사로 좌천되었다. 상구성이 효문제묘 첨사로 있을 때 술에 취해 시를 지어 읊었는데 이 가운데 멀리 옮겨 떨어져 있으니 울적한 마음을 달랠 수 있으리요라는 말이 황제에게 무례를 범한 대불경죄에 해당한다는 판결이 나오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제음현
중합후 마통 시랑의 직위를 맡고 있는 마통은 군사를 이끌고 반란자들을 추격하여 반란세력 주동자인 여후를 잡은 공로를 인정받아 후작을 수여받았고, 그 봉읍의 호수는 487십호수에 달했다. 같은 날 7월 계사일에 제후 작위에 봉했고, 2년 후 정화4년 도위 궤 등과 모의하여 군사 반란을 기도한 죄로 후작이 취소되고 요참형으로 처형되었다.   발해
덕후 경건 장안의 사대부 경건은 마통을 따라서 여후를 함께 체포하고 반란세력의 주요인물인 태자소부 석덕을 체포한 공로로 덕후에 봉해졌고, 봉읍의 호수는 3735호에 달했다. 7월 계사일에 제후 봉읍 작위가 수여되었고, 2년 후 정화4년 마통과 함께 반란을 공모하고 기도한 죄로 요참형으로 처형되었다. 제남

 

號諡姓名 功狀戶數 始封 曾孫 玄孫
侯商丘成 以大鴻臚擊衛太子 力戰 亡 侯 二千一百二十戶 延和二年七月癸巳封 四年 後二年 坐詹事侍祠孝文廟 醉歌堂下曰 出居 安能鬱鬱 大不敬 自殺       濟陰
重合侯莽通 以侍發兵擊反者如侯 侯 四千八百七十戶 七月癸巳封 四年 後二年 坐發兵與衛尉潰等謀反 要斬       勃海
德侯景建 以長安大夫從莽通共殺如侯 得少傅石德 侯 三千七百三十五戶 七月癸巳封 四年 後二年 坐共莽通謀反 要斬       濟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