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대왕릉비 연구-제2권-비문 뒷면 해석

<문무대왕릉비 비문 연구-제2권-비문 뒷면> 목차

문무대왕 2025. 4. 2. 11:01

<문무대왕릉비 비문 연구-2-비문 뒷면> 목차

 

차례

    내용
I 1 이 책의 주요 내용 요약 8
  2 들어가기 17
  3 서문  
    한국의 문자-한문
에라스무스- 모방과 창조
불을 밝히는 지혜는 어떻게 이어지는가?
벌꿀의 비유
 
  4 이 책을 쓰게 된 동기 22
    사람은 천명을 받는다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지금 세상은 어떠한가?
왜 사마천은 백이숙제를 제1장에다 올렸을까?
무릉도원
Calling
재현 representation
왜 한국의 고대사를 한글로 정확하게 번역해야 하는가?
 
  5 문무대왕릉비 비문 뒷면 추홍희 번역 해석 요약 표 정리 30
  6 국편위 번역과 추홍희 번역 비교 표 정리 36
  7 비문 판독문-유희해 해동금석원 43
  8 문무왕릉비 비문 국편위의 번역 오류 지적 표 49
    문무왕릉비 비문 뒷면 추홍희 번역 해석 4자 뛰어쓰기 요약 55
    인류의 지식 체계와 전승의 문제 62
    문무왕릉비 비문 원문 64
II 비문 구절 문무왕릉비 비문 뒷면 각행 해설  
     
1 丸山有紀功之將 전쟁에서 크게 무공을 세우고 이름을 떨친 장군 67
2 □直九合一匡
東征西伐
靜思精忠정사정충 赤心報國적심보국
九合一匡구합일광 東征西伐동정서벌
櫛風沐雨즐풍목우
69
3 ▨宮前寢
時年五十六
□宮前寢-시간개념인가? 공간개념인가?
행궁과 이궁
74
4 □牧哥其上 狐穴其傍 목동의 애가
여우와 토끼도 슬퍼하고
79
    만가시 망국지음 81
    나라의 운명이 나의 운명임을 깨달아 82
    칠애시 85
    호토지비 91
    목동애가 92
5 ()燒葬 卽以其月十日大 화소장 火燒葬
孟冬十月 맹동시월
송왕 送王之日
97
6 天皇大帝
如喪考妣
요백보천황대제 耀魄寶 天皇大帝
선계승천
103
    왜 추사 김정희는 天皇大帝천황대제를 잘못 해석했는가? 104
    천황대제와 선계승천 106
7 □□王禮也▨君王局量 국장과 문상
諸王 奔喪
111
8 □國之方
勤恤同於八政
八政팔정은 무슨 뜻인가?
전국민의 애도속에 치뤄진 국장
114
9 贍歸乃百代之賢王寔千 백대의 현왕
천년의 영수로 남을 천고의 영웅
116
10 淸徽如士不假三言
識駿
지도자의 조건
왜 총명현군은 묻고 답하기를 즐겨 하는가?
121
11 □□而開沼髣髴濠梁延錦石以 연못과 정원의 의미
濠梁之上(호량지상)의 의미
126
    왜 혁명은 다리를 지나는 것일까? 141
12 □□之聆嘉聲而
霧集爲是朝多
동해지빈-동해의 빈객
망자의 휴식과 산자의 의무
146
    봉제사접빈객 奉祭祀接賓客 148
13 卽入昇忘歸射熊莫返太子雞」 선계승천과 必死則生必生則死-죽고자 하면 살 것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太子雞犬升天의 출전과 의미
154
    북극성과 천연 164
    태자계견승천 167
14 丹靑洽於麟閣
竹帛於芸臺
麟閣인각사와 芸臺운대-왕립도서관 172
15 餘下拜之碣迺爲銘曰 비석 銘文명문 墓志묘지명 178
16 侍星精▨▨▨▨▨ 
   域千枝延照 三山表色盛德遙傳
天運服侍천운복시 星精下降성정하강
光美光域광미광역
180
17 道德棲梧▨▨ 允武允文多才多藝憂人呑蛭尊」 道德像도덕상
棲梧鳳飛서오봉비
憂人呑蛭우인탄질
186
       
18  九伐親命三軍                威恩赫奕茫茫沮穢聿來充役蠢」 先話九伐선화구벌
親命三軍친명삼군
茫茫沮穢망망저예
聿來充役율래충역
蠢妖寇준준요구
195
19 欽風丹甑屢出黃鎭空            雄赤烏呈灾黃熊表崇俄隨風燭忽」 길상을 나타내는 표현들
黃圖鎭空황도진공
화복자웅禍福雌雄의 이치
黃熊表祟황웅표수
204
20 命凝眞貴道賤身欽味釋葬以積薪▨▨▨▨▨▨▨       滅粉骨鯨津嗣王允恭因心孝友 貴道賤身귀도천신
欽味釋(//)흠미석(//)
葬以積薪장이적신
215
    엄명응진 215
    귀도천신 216
    도/유/불 218
    흠미석박 장이적신 221
    서수획린 절필지운 222
    정도자의 신불멸론 226
    신불멸론 대논쟁 227
    신진화전 228
    穀神不死(곡신불사) 229
    영광불멸 234
    분골쇄신 240
    粉骨鯨津(분골경진) 242
    인심효우 245
    명문 4자 띄어쓰기 정리 251
21   鴻名
與天長兮地久
춘추만대 영보홍명
산고수장
252
22 卄五日景辰建碑 大舍臣韓訥儒奉 景辰 경진길일 건비입묘 259
       
III 후기 공자의 春秋(춘추)西狩獲麟(서수획린) 268
    왜 공자가 한반도로 이민을 오고자 했을까? 271
    김정희는 어떻게 기존의 황당무계한 설을 물리치고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혀냈는가 274
  일러두기   276
  역사혁명책 주요 내용 요약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