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1. 책의 저자 추홍희는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영미판례법국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로스쿨을 졸업하고,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호주 변호사가 되었으며,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로스쿨에서 법학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러한 저자의 교육 배경과 실무와 학교 내외에서 쌓은 지식의 배경으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학술 연구 조사 능력을 축적했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① 이 책을 완성함에 있어서 결정적인 도움을 준 판독문 문헌 자료는 《海東金石苑》(劉喜海(1794-1852)의 편찬 1881년 이명초당 발간)과 청나라 육심원(陸心源)의 편저 “唐文拾遺” (1888)이었다 이러한 지식 전승의 인류 보편성 확보에 큰 노력을 다한 편자들과 발행인 그리고 보존자들에게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② 기존의 번역과 해석을 제쳐 놓고, 오로지 비문 원문만 보고 나만의 번역 해석 작업을 홀로 완성해 내서, 기존의 번역과 해석이 내가 완성한 원문 해석과는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고, 나의 도전적 반론이 얼마나 또 어떻게 보편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지를 생각하고 또 그것이 객관적인 시각에서 합리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③ 문무왕릉비 비문 해석에 대한 나의 설명과 이에 대한 객관성의 확보는 漢文 중국어 사전의 설명에 의존하였다. 이 책을 씀에 있어 저자가 한문 원문을 번역하거나 해석하거나 설명하거나 서술하거나 인용하는 경우는 《漢語大詞典》《康熙字典》《漢典》 한어대사전과 강희자전과 한전중국어 사전을 주로 이용하였다.
漢語大字典(第二版)www.homeinmists.com/hd/index.html
漢語大詞典 www.kaom.net/book_hanyudacidian.php
中文現代漢語大詞典 https://word.aies.cn/ci
汉语大辞典_辞海_新华字典-汉辞网 www.hydcd.com
漢語詞典 https://www.chinesewords.org/dict
康熙字典 http://hy.httpcn.com/kangxi/
옥스포드 영어 사전 https://en.oxforddictionaries.com/
일본어 사전 goo 辞書 http://dictionary.goo.ne.jp/
다수의 漢典 인터넷 사이트가 한자 사전의 편리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 책 속에서 한문의 뜻을 설명하거나 번역이나 해석함에 있어서 인용한 사전에 들어 있는 원문의 해당 페이지 쪽수는 생략했다.
④ 道敎(도교)에 대한 이해는 노자 장자 문자 열자 등의 원전과 설명서를 탐독했고, 학문적인 연구서로써 기본서는 《Daoism Handbook》《The Encyclopedia of Taoism》을 완독하고 연구서들을 섭렵했다. 사전은 《道敎小辞典》《道敎大辭典》을 활용하였다.
⑤ 《Daoism Handbook》을 읽으면서 도교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높이게 되었으며, 《The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을 읽으면서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반악과 장재와 유신의 문장들을 《昭明文選》《庾開府集笺注》을 통해서 읽고 또 《前漢書》와 《晉書》 등을 읽고 나서 저자의 책의 시작과 끝을 맺을 수 있었다.
⑥ 사마천의 史記, 반고의 漢書, 방현령의 晉書는 《二十四史》를 이용하였다. 사마광의 資治通鑒은 柏杨白话版资治通鉴과 한국의 고전문헌번역DB를 참조하였다. 三洞瓊網을 포함 “道藏”(도장)은 正統道藏(정통도장)을 참고하였다. 또 이런 자료들은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 http://www.guoxuedashi.com
등 인터넷 제공 소스를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