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득공1 유득공의 "투후 제천지윤" 해석 1. 유득공의 투후 제천지윤 해석 유득공(柳得恭)은 그의 古芸堂筆記(고운당필기)권6에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𥞒侯 祭天之胤 傳七葉 云云 依倚考其上下文義 似敍其世次也 然則以鷄林之金爲金日磾之金歟” (투후 제천지윤 전칠엽 운운 의의고기상하문의 사서기세차야 연즉이계림지금 위김일제지금여)이 구절은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𥞒侯 祭天之胤 傳七葉”(투후 제천지윤 전칠엽)이라는 구절을 적고 있는데 이 문장의 앞 뒤 선후 관계를 따라 문장의 뜻을 살펴보면 아마도 조상의 세대를 적고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金日磾의 金이 계림(鷄林)의 김(金)이지 않을까?” 유득공(1748-1807)의 견해는 1760년 영조(재위 1725-1776) 36년 경주부윤이 된 이계(耳溪) 홍양호(1724-1802)가 탁본한.. 2025. 4.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