秺侯3 秺侯 商丘成(투후 상구성) 7. 투후 상구성 1. 한서 공신표(景武昭宣元成功臣表) 秺侯 商丘成(투후 상구성) 商丘成(상구성)이 秺侯(투후)에 봉해진 기사는 한서 공신표(景武昭宣元成功臣表)에 나타난다. 以大鴻臚擊衛太子 力戰 亡它意 侯 二千一百二十戶 대홍려 상구성은 반란을 일으킨 위태자 일당을 추격 역전분투하여 일망타도한 공로로 제후 작위를 수여받았고 제음현이 그 봉읍지로써 봉읍호수는 2천2백2십 호에 달한다. 시호성명제후 봉작을 받게 된 구체적 공적 내용과 봉읍의 호수 봉작을 작위받은 시기봉읍지 투후 상구성 (秺侯 商丘成)대홍려 상구성은 반란을 일으킨 위태자 일당을 추격 역전분투하여 일망타도한 공로로 제후 작위를 수여받았고 제음현이 그 봉읍지로써 봉읍호수는 2천2백2십 호에 달한다. 정화 2년 (BC 91) 음력 7월 계사일.. 2025. 4. 14. 백제 출신 당나라 흑치준 장군 묘지명(706년)의 秺侯(투후)는 누구를 지칭하는가 백제 출신 당나라 흑치준 장군 묘지명(706년)의 秺侯(투후)는 누구를 지칭하는가? 흑치준 묘지명(大唐故右金吾衛守翊府中郞將上柱國黑齒府君墓誌銘幷序)에 나타난 “秺侯入仕 西戎孤□(臣/家)” (투후입사 서융고신)의 해석 1. 당나라 백제 흑치준 묘지명 국사편찬위원회 번역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 소재 당나라 신룡(神龍)이년(706년)의 백제 출신 당나라 장군 흑치준(黑齒俊) 묘지명(大唐故右金吾衛守翊府中郞將上柱國黑齒府君墓誌銘幷序)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타난다.於維后唐 求賢以理 頹當 秺侯入仕 西戎孤□ 東夷之子 求如不及 片善斯紀 其一.이에 대한 국사편찬위원회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於維后唐, 求賢以理, 頹當, 秺侯入仕, 西戎孤□, 東夷之子, 求如不及, 片善斯紀. 其一 “아아, 堯 임금은 현명한 사람을 .. 2025. 4. 14. “투후”를 “김일제”이라고 해석하는 한국인들에게 “투후”를 “김일제”이라고 해석하는 한국인들에게 투후 상구성-반악의 서정부와 백제 흑치준 묘지명의 투후는 누구인가 투후를 김일제라고 해석하는 한국 사람들에게 나는 그들의 잘못을 한번에 깨부숴버리는 주장으로서 우선 강희자전을 즉시 펼쳐보기를 바란다. 한자옥편만 펼쳐봐도 투후 김일제라고 단정하는 사람들의 주장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바로 알 수 있다. 그런데도 그동안 왜 한국인들은 눈뜬 봉사가 되었고 코끼리 다리 만지는 장님이 되었고 귀마저 멀은 귀머거리가 되었고 벙어리 삼룡이 농아가 되었단 말인가? “한 나라가 종교에 대한 믿음을 잃게 되면 그 문명은 국내적으로 사회적 분열을 겪거나 외부 군사적 침략의 위험에 노출되거나 경제적 식민지 노예 상태로 전락할 그럴 위험에 처하게 된다. 믿음의 상실이 가져온 결과로 .. 2025. 4.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