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정치학3

행복학의 최신 연구에서 한국 정치가 배워야 할 것 행복학의 최신 연구에서 한국 정치가 배워야 할 것 최근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이나 미국까지 전 세계에서 최대 화두는 “행복”이다. 개인의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는 “웰빙”, 사회적 행복 추구 복지welfare 국가 건설, 개인과 사회 모두가 행복을 추구한다. 미국 독립선언서에서는 이렇게 천명했다.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고 인간의 생명과 자유와 행복의 추구권은 양도할 수 없는 권리에 속한다. 이러한 최고 권리를 안전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정부를 조직했고, 따라서 사람들의 안전과 행복을 보장하는 것이 정부의 목표인 것이다. 이런 이상이 과연 실현되고 있을까? 그러나 안타깝게도 오늘날의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우리나라의 일인당 국민소득GDP은 2007년 2만 1,695달러를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 2만 달러.. 2025. 4. 29.
제3장 정책결정자들은 행복학 조사연구 자료를 이용해야 하나 3장정책결정자들은 행복학 조사연구 자료를 이용해야 하나? 행복이 정부정책의 핵심 과제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매우 크다. 인간에게 있어서 행복이 최고로 중요하다는 것은소크라테스, 존 로크, 지그문드 프로이드등 대사상가들이 역설해 온 바이다. 여론 설문조사에 따르면, 행복은 사람들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중에서 최상위에 속하고, 민주 국가에서 중요한 가치로서 당연 히 존중되어야 할 높은 경의의 대상이다.[1] 더구나 제1장에서 지적했듯이, 지속되는 행복을 얻는 방법으로는 시민참여 활동, 친절한 행동, 끝없는 금전적 쾌락과 사소한 것을 끝없이 추구하는 것보다 사회에 도움이 되는 다른 행동들이 포함된다. 또 행복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보다 더 건강하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영위하고, 업무에 뛰.. 2025. 4. 29.
행복 정치학 서문 행복 정치학 서문 작은 불교도의 나라 부탄(Bhutan)은 중국과 인도에 끼어있는 히말라야 산맥 깊숙한 고지에 위치하고 국토는 높은 산, 울창한 산림, 빙하가 녹아내리는 강과 하천들로 이루어져 있다. 외국 여행자들에게는 너무 외탄 나라이어서 부탄은 1960년대까지 외부세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부탄의 빈곤율, 문맹율, 영아사망율은 전 세계 나라 가운데 가장 최악의 수준에 달했다. 그러나 1972년 이 고립된 나라가 전 세계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된 비범한 일이 일어 났다. 새로 왕위에 오른 지그미 싱위 완척 국왕이 앞으로는 “국민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이 아니라 “국민총행복(Gross National Happiness)”이 국가의 발전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가 될 것.. 2025.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