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 politics of happiness2

제4장 경제 성장의 문제 4장경제 성장의 문제 행복학 연구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쟁점은 미국인들이 상승하고 지속하는 경제 성장에 대해서 그렇게 우선순위를 높이 두는 것이 과연 현명한 것인지의 여부다. 사람들이 열망하는 재산의 증가가 지속적인 행복을 꼭 가져다 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주장함에 있어서, 연구자들은 정부 정책의 주요한 목표를 공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경제학의 핵심적인 가정에 문제를 제기한다- 즉 소비자들은 자기자신의 복지에 대해 가장 잘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일인당 국민총생산(GNP)이 상승하면 행복도 같이 따라서 상승할 것이라는 점을 가정하고 있는데 이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의문시한다. 이러한 비판의 의미는 매우 중차하다. 최근의 연구결과가 시사하듯이, 만약 소득 상승이 미국인들을 더 행복하게 만들.. 2025. 4. 29.
제3장 정책결정자들은 행복학 조사연구 자료를 이용해야 하나 3장정책결정자들은 행복학 조사연구 자료를 이용해야 하나? 행복이 정부정책의 핵심 과제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매우 크다. 인간에게 있어서 행복이 최고로 중요하다는 것은소크라테스, 존 로크, 지그문드 프로이드등 대사상가들이 역설해 온 바이다. 여론 설문조사에 따르면, 행복은 사람들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중에서 최상위에 속하고, 민주 국가에서 중요한 가치로서 당연 히 존중되어야 할 높은 경의의 대상이다.[1] 더구나 제1장에서 지적했듯이, 지속되는 행복을 얻는 방법으로는 시민참여 활동, 친절한 행동, 끝없는 금전적 쾌락과 사소한 것을 끝없이 추구하는 것보다 사회에 도움이 되는 다른 행동들이 포함된다. 또 행복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보다 더 건강하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영위하고, 업무에 뛰.. 2025.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