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정부8

서정부에서 열거한 인물 리스트 1.    서정부 단락에서 열거한 인물 리스트 역사를 회고해 보면 소하조참 위상병길이런 명재상들과 蕭何(소하)蕭何(소하, ?-BC 193) 강소성 출신으로 유방이 한나라를 개국한 후 소후(蕭侯)에 봉해지고 승상에 올랐다. 나라의 기틀을 정한 여러 법률을 제정한 법률가이었다.  曹參(조참)曹參(조참, ?-BC 190) 강소성 출신 재판 담당 관리로 출발하였는데 유방 밑에서 군사전공을 세웠다. 개국공신으로 평양후에 봉해졌다. 소하의 승상 자리를 이어받고 그의 국정철학을 그대로 펼쳤다. 魏相(위상)魏相(위상, ?-BC 59)은 BC 66년 한선제 때 승상에 발탁되었고 고평후에 봉해졌다. 易經(역경)에 밝았다. 한서 반고가 위상과 병길을 “유방의 한나라 개국의 기초를 닦은 으뜸 공신은 소하와 조참이었고, 한선제.. 2025. 4. 14.
장건과 소무를 같이 한 묶음으로써 거명한 이유 1.    장건과 소무를 같이 한 묶음으로써 거명한 이유 銜使則蘇屬國,震遠則張博望;教敷而彝倫敘,兵舉而皇威暢 서정부에서 震遠(진원)이라고 표현한 배경은 먼 서역국가들에 파견되어 힘을 바탕으로 한 외교술을 펼친 장건의 경력을 두고서 한 말이고, 이런 장건을 소무와 함께 한 구절로 포함시킨 배경에는 소무가 19년 동안 흉노에 포로로 잡혀 억류되었는데 먼 북방 호수에서 격리 구금되었어도 전향하지 않고 끝내 돌아와 한나라를 위해서 봉사한 사실과 같이 장건 또한 11년 동안 흉노에 억류되었어도 굴복하지 않고 되돌아와 외교술을 펼친 사실이 있다. 적국이 쳐들어오는 상황이나 적국으로 깊숙이 들어가 목숨이 위태로울 지경의 큰 위기 상황을 맞이하여 지혜와 용기를 발휘한 사람이 소무와 장건이었다. 이들은 적국에 인질로 붙잡.. 2025. 4. 14.
被髮左袵 奮迅泥滓(피발좌임 분신니재) 해석 1.    被髮左袵 奮迅泥滓(피발좌임 분신니재) 해석  被髮左袵 奮迅泥滓(피발좌임 분신니재)-이 구절에 대한 추홍희 번역해석이 이선의 주해와는 가장 크게 대비된다. 추홍희가 이렇게 장황하게 서정부 해설을 덧붙이는 이유는 당나라 때의 이선의 주해가 이 부분에서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대신 추홍희의 해설이 옳다는 것을 입증해내기 위해서이다. 논어 憲問의 被髮左衽독음번역子貢曰:「管仲非仁者與?桓公殺公子糾,不能死,又相之。」子曰:「管仲相桓公,霸諸侯,一匡天下,民到于今受其賜。微管仲,吾其被髮左衽矣。豈若匹夫匹婦之為諒也,自經於溝瀆,而莫之知也。」자공왈: '관중비인자여 환공살공자규, 불능사, 우상지.' 자왈: '관중상환공, 패제후, 일광천하, 민도우금수기사. 미관중, 오기피발좌임의. 기약필부필부지위량야, 자경어구독이막지지야자공이.. 2025. 4. 14.
반악의 서정부 해석 1.    서정부 단락 단어 해석 반악의 서정부 원문 투후지충효순심 단락단어 해석懷夫蕭 曹 魏 邴 之相辛 李 衛 霍 之將銜使 則 蘇 屬國震遠 則 張 博望  教敷而彝倫敘兵舉而皇威暢   臨危而智勇奮 投命而高節亮暨乎 秺侯 之忠孝淳深 陸賈 之優游宴喜    長卿 淵 云 之文子長 政 駿 之史趙 張 三王 之尹京定國 釋之 之聽理汲長孺 之正直鄭當時 之推士終童 山東 之英妙賈生 洛陽 之才子 飛翠緌 拖鳴玉 以出入禁門者 衆矣或 被髮左袵 奮迅泥滓 或 從容傅會 望表知里或 著顯績而嬰時戮或 有大才而無貴仕             皆 揚清風于上列 垂令聞而不已想珮聲之遺響 若鏗鏘之在耳           當 音 鳳 恭 顯 之任勢也 乃 熏灼四方 震耀都鄙   而死之日 曾不得與夫十余公之徒隸齒名才難 不其然乎懷=緬懷=追想 과거 사적을 회상해 보면 相=良.. 2025. 4. 14.
서정부 이선의 주해 1.    서정부 당나라 이선의 주해 서정부 단락懷夫蕭曹魏邴之相,〈並已見西都賦。〉辛李衛霍之將。〈漢書曰:辛慶忌,字子真,為左將軍。匈奴西域親附,敬其威信。本狄道人。又曰:李廣,隴西人也,為右北平太守。匈奴號曰漢飛將軍,避之。數歲不入界。衛、霍,已見長楊賦。〉銜使則蘇屬國,震遠則張博望。〈漢書,孫寶銜命奉使,職在刺舉。又曰:蘇武字子卿,杜陵人也。武以中郎將,使持節送匈奴使留在漢者,匈奴乃徙武北海上。武杖漢節牧羊。武留匈奴凡十九歲,乃還,拜為典屬國。又曰:張騫,漢中人也。以郎應募,使月氏,去十三年,得還。騫以校尉從大將軍擊匈奴,知水草處,軍得以不乏。封騫為博望侯。〉教敷而彝倫敘,兵舉而皇威暢。〈敷教,蕭、曹也。舉兵,衛、霍也。尚書曰:彝倫攸敘。〉臨危而智勇奮,投命而高節亮。〈臨危,張騫也。智勇,已見上文。投命,蘇武也。吳子曰:一人投命,足懼千人。杜預左氏傳注曰:投,棄命也。史記曰.. 2025. 4. 14.
반악의 서정부 투후 충효순심(秺侯之忠孝淳深) 단락 해설 8. 반악의 서정부 투후 충효순심(秺侯之忠孝淳深) 단락 해설 반악의 서정부에 투후에 관련된 구절이 등장하는데 그 문단을 번역하면 아래와 같다. 반악의 서정부에서의 “秺侯之忠孝淳深”(투후지충효순심) 단락에 대해서 내가 이렇게 상세히 설명하는 이유는 당나라 이선의 주해가 틀렸음을 입증해 내는 과정과 그 근거를 정확하게 반박하고 서정부의 원문의 내용을 올바로 해석하고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1.    서정부 투후 부분 한문 원문반악의 서정부 투후지충효순심 단락 원문懷夫蕭曹魏邴之相辛李衛霍之將銜使則蘇屬國震遠則張博望教敷而彞倫序兵舉而皇威暢臨危而致勇奮投命而高節亮暨乎秺侯之忠孝淳深陸賈之優游宴喜長卿淵雲之文子長政駿之史趙張三王之尹京定國釋之之聽理汲長儒之正直鄭當時之推士終童山東之英妙賈生洛陽之才子飛翠緌拖鳴玉以出入禁門者眾矣或披髮左衽奮迅泥.. 2025. 4. 14.
死生契闊(사생계활) 死生契闊(사생계활) 가을은 복받은 최고의 계절이다. Why? 보라, 추수감사절이 언제 어디에 있는가를? 춘생 하장 추수 동장(春生 夏長 秋收 冬藏)이라는 옛말이 있다. 이 황제내경에 나오는 말이 자연질서의 법칙 하늘의 이치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가을의 본령 그 뜻을 가장 잘 표현한 최고의 시인은 반악이다. 반악의 “추흥부”를 읽고 감상해 보면 누구도 단정에 이의를 달기 어려울 것이다.   산길은 도로 주행과는 차이가 많이 난다. 그래서 굽이굽이 돌고 돌아 가는 길 기복이 많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등산을 일본어로 “爬山”(하우)라고 말하는데, 여기의 파산-‘파’글자가 기어오르다, 파충류 ‘파’자이다. 대개 사람들이 힘들 때 슬픔의 감정을 느끼지 않는가? 힘든 노동에 지칠 때 노동요를 부르듯이 말이다. .. 2025. 4. 14.
“투후”를 “김일제”이라고 해석하는 한국인들에게 “투후”를 “김일제”이라고 해석하는 한국인들에게 투후 상구성-반악의 서정부와 백제 흑치준 묘지명의 투후는 누구인가 투후를 김일제라고 해석하는 한국 사람들에게 나는 그들의 잘못을 한번에 깨부숴버리는 주장으로서 우선 강희자전을 즉시 펼쳐보기를 바란다. 한자옥편만 펼쳐봐도 투후 김일제라고 단정하는 사람들의 주장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바로 알 수 있다. 그런데도 그동안 왜 한국인들은 눈뜬 봉사가 되었고 코끼리 다리 만지는 장님이 되었고 귀마저 멀은 귀머거리가 되었고 벙어리 삼룡이 농아가 되었단 말인가? “한 나라가 종교에 대한 믿음을 잃게 되면 그 문명은 국내적으로 사회적 분열을 겪거나 외부 군사적 침략의 위험에 노출되거나 경제적 식민지 노예 상태로 전락할 그럴 위험에 처하게 된다. 믿음의 상실이 가져온 결과로 .. 2025.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