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구성6 한서 유굴리전에 기재된 투후 상구성 기록 한서 공신표에 기록된 투후 상구성 (秺侯 商丘成) 여태자의 무고의 반란을 진압 타도한 공로로 제후에 봉해진 사람은 상구성과 마통 그리고 경건이었는데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봉작 사실을 적고 있는 한서의 기록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경제무제소제선제원제성제 공신표》 시호성명제후 후작을 받게 된 구체적 공적 내용과 봉읍의 호수 봉작을 작위받은 시기봉읍지 투후 상구성 (秺侯 商丘成)대홍려 직위에 있던 상구성은 반란을 일으킨 위태자 일당을 추격하고 역전분투하여 일망타도한 공로로 제후 작위를 수여받았고, 제음현이 그 봉읍지로써 호수는 2천2백2십 호에 달했다. 정화 2년 (BC 91) 음력 7월 계사일에 봉했다, 이후 2년 뒤인 정화 4년(BC 89)에 투후 상구성이 효문제 묘를 .. 2025. 4. 15. 투후 상구성이 널리 알려지지 못한 이유 투후 김일제는 잘 알려진 반면 투후 상구성은 잘 알려지지 못한 이유 투후 상구성은 대불경죄로 자결한 사람이다. 상구성은 권력 투쟁에서 패배한 측이었으므로 ‘승자의 기록’이라는 역사서에 그 이름을 남기지 못한 것이다.무고지화 여태자 반란을 진압했던 승상 유굴리는 삼족이 멸문당하고, 소문은 광교 다리에서 화형당하고, 투후 상구성은 대불경죄로 자결하고, 망통, 망하라, 경건 등은 BC 89년 반란을 공모한 죄로 요참형으로 처형되었다. 한무제가 죽은 뒤, 조정권력은 곽광 김일제 상홍양 상관걸의 탁고대신 사인방이 차지하고 득세하게 되었다. 투후 상구성은 사서에 단독적 전기가 실려 있지 않고, 반란죄로 삼족이 멸한 유굴리 전기 속에 몇 개 사실이 간단히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투후 김일제의 전기는 곽광과 함께 한서.. 2025. 4. 15. 투후 상구성(商丘成)은 누구인가 9. 투후 상구성 전기 투후 상구성(商丘成)은 누구인가? 투후 상구성 전기 상구성(商丘成)은 성은 상구(商丘) 이름은 성(成)이다. “열선전”에 상구자서(商丘子胥)라는 선인이 소개되어 있고, 상구는 복성이다. 상나라의 수도가 상구였다. 투성이 위치한 성무현이 이 근처이고 오늘날 산동성 하택(荷澤)시 부근이다. 상구성의 출생 연도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대홍려와 어사대부를 지낸 관직 경력과 무고의 난 때 한고조 묘지기를 지낸 전천추(?-BC 77)의 기록을 통해서 대략 추측해 보면 BC 2세기경에 태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한서 기록에 따르면 한문제(BC 202-BC 157) 묘지기 첨사로 재직 중 설화를 입어 BC 88년 황제에 대한 불경죄의 판결이 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상구성은 “大鴻臚”(.. 2025. 4. 15. 한서 劉屈氂(유굴리)전에 기재된 투후 상구성 기록 1. 한서 劉屈氂(유굴리)전에 기재된 투후 상구성 기록 유굴리(劉屈氂)에 대한 기록은 漢書 公孫劉田王楊蔡陳鄭傳에 실려 있다. 유굴리전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타난다. “上曰 侍郎莽通獲反將如侯 長安男子景建從通獲少傅石德 可謂元功矣 大鴻臚商丘成力戰獲反將張光 其封通爲重合侯 建爲德侯 成爲秺侯 諸太子賓客 嘗出入宮門 皆坐誅”. 이 구절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한무제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시랑 망통은 반란세력의 주동자 여후를 체포하였고, 장안의 사대부 경건은 망통을 따라서 반란세력의 주요 협력자인 태자의 소부 석덕을 체포하였으니 가히 그 공이 크다. 대홍려 상구성은 반란세력과 전투를 벌이고 반란세력의 주동자인 장광을 붙잡았다. 이런 공로로 망통을 중합후에 봉하고, 경건을 덕후에 봉하며, 상구성을 투후에 .. 2025. 4. 14. 정말 신라는 흉노족의 후손일까? 1. 들어가기-말과 글과 문화-사전의 가치 정말 신라는 흉노족의 후손일까? 문무대왕 왕릉비문 속에 등장하는 “秺侯 祭天之胤”(투후 제천지윤)을 “투후 김일제”라고 해석하는 주장들이 존재한다. 탈-진실사회에서 활개치는 인터넷 가짜글들은 두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지난 30년간 식민사학자들이 진행시켜 온 특히 KBS 방송 역사 스페셜 등 각종의 신문 방송에서 문무대왕 왕릉비문의 “투후”를 “김일제”로 해석하여 “신라인은 흉노족의 후손”이라고 떠들어대고 있는 이들 때문에 역사 교육의 혼란스러움이 극한 상황에 다다른 지경이다.그렇게 떠들어댄 이유 중 하나는 공자도 칭찬해 마지 않았던 우수한 한반도 동이 민족을 침략자 서방 강족 흉노족으로 변신시켜 민족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만들어 내고, 그리하여 유구한 역사를 통.. 2025. 4. 11. <투후는 누구인가> 목차 투후는 누구인가> 목차 내용쪽1들어가기-말과 글과 문화-사전의 가치와 위대성 정말 신라는 흉노족의 후손일까? ·11 “투후”를 “김일제”이라고 해석하는 한국인들에게16 투후 상구성-반악의 서정부와 백제 흑치준 묘지명의 투후는 누구인가 ① 반악의 서정부에 나타난 “秺侯之忠孝淳深”(투후 지충효순심) ② 백제 흑치준 묘지명의 “頹當 秺侯入仕 西戎孤臣”(퇴당 투후입사 서융고신) ③ 한자 사전에 풀이된 秺(투) 내용 투후 상구성 vs 투후 김일제1. 강희자전 《康熙字典》 “秺” 2. 반고의 한서 공신표《漢書 功臣表》”秺侯 商丘成” 3. 한서 유굴리전에서의 투후 상구성 기록 2저자 서문23 1. 이 책의 기여도 30 ① 문화국가론 ② 국제적 영향력 .. 2025. 4.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