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투후 김일제
1. 사기 년표 《史記•年表》 투후 김일제 秺侯 金日磾
사기 년표에 다음과 같은 김일제를 투후로 봉했다는 기사가 등장한다.
後元元年 二月己巳,光祿大夫霍光為大將軍 博陸侯 都尉金日磾為車騎將軍 秺侯 太僕安陽侯上官桀為大將軍
후원원년 이월 기사일
광록대부 곽광을 대장군에 임명하고 박륙후에 봉하고, 도위 김일제를 거기장군에 임명하고 투후에 봉하며, 태복 안양후 상관걸을 대장군에 임명함.
2. 한서 서전하(敘傳下) “秺侯狄孥”(투후적노) 해석
한서 서전하(敘傳下)에 “秺侯狄孥 虔恭忠信 奕世載德 貤于子孫” (투후적노 건공충신 혁세재덕 이우자손): 투후는 적(敵)의 자식으로, 성실하고 정성을 다해 충성을 바치고 믿음을 지켰고. 누대에 걸쳐 대대로 덕을 쌓고 자손 대대로 이어졌다.
반고의 편제에 따라서 여기의 투후는 김일제를 지칭한다.
孥: 子女, 奕世: 累世, 代代, 載德: 積德, 貤: 迤, 延展
3. 경후(敬侯) 김일제(金日磾)-한서 김일제전
한서 김일제전에서 김일제의 시호는 경후(敬侯)라고 했고, 한서 공신표에는 “투경후”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한서, 김일제전 | |
… | |
輔政歲餘,病困,大將軍光白封日磾,臥授印綬。一日,薨,賜葬具冢地,送以輕車介士,軍陳至茂陵,諡曰敬侯 | 일제는 남은 생을 보좌하다 병이 깊어졌다. 대장군 곽광은 작위에 봉함을 일제에게 알렸다. 일제는 죽음의 병상에서 인수를 받았다. 그 다음날 사망했다. 장례용품과 장지를 하사받았고 관을 이끄는 수레와 따르는 용사들을 장지인 무릉에 딸려 보냈고 시호는 경후라고 했다. |
… | |
金日磾夷狄亡國,羈虜漢庭,而以篤敬寤主,忠信自著,勒功上將,傳國後嗣,世名忠孝,七世內侍,何其盛也!本以休屠作金人為祭天主,故因賜姓金氏云。 |
김일제는 한나라의 적국 오랑캐 출신으로 나라가 망해서 한나라에 포로로 잡혀 노예가 된 사람이었다. 하지만 자나깨나 진실로 한왕을 섬기고, 진심으로 믿음을 다해 섬긴 결과 큰 공을 세우고 높은 계급의 장군이 되었다. 후대 자손에게 봉읍지를 전해주고, 충성과 효성이 높은 것으로 세상에 이름이 알려졌다. 황제의 곁을 지키는 높은 벼슬의 궁중 내시를 대대로 지냈으니 그와같이 집안이 번창한 것은 당연하지 않겠는가! 원래 휴도왕이 청동금상을 만들어 하늘님(천주)에게 제사를 지냈는 바 이에 따라서 황제가 김씨성을 하사했다고 한다. |
4. 한서 공신표에서의 투경후 김일제
투후 김일제에 관한 한서 공신표의 기록을 보자. “투경후 김일제”로 적혀 있다.
한서 공신표
투경후 김일제 | 부마도위 때 시중 망하라의 반란 기도를 적발한 공로로 봉후 작위를 받음 봉읍 호수는 2천2백1십8호 | 시원2년(87년) 후작위 받음 작위 받은 날이 병자일이었는데 그 다음 날 사망함 | 孫 | 원시4년 제후 작위를 증손 김상이 이어받음 봉읍은 1천호였음. 왕망이 망하자 작위는 취소되고 없어짐 | ||
秺敬侯金日磾 | 以駙馬都尉發覺侍中莽何羅反侯,二千二百一十八戶。 | 始元二年侯,丙子封,一日薨。 | 孫 | 元始四年,侯常以日磾曾孫紹侯,千戶,王莽敗,絕。 |
5. 한서 김일제전에서의 투후 봉작 사실-武帝遺詔以討莽何羅功封日磾為秺侯 日磾以帝少不受封
한서의 기록에는 한무제가 김일제에 대한 투후 작위를 유언으로 남겼지만 김일제는 황제의 나이가 아직 어리다는 이유로 투후 작위를 받지 않았다는 사실-“日磾以帝少不受封”-을 함께 적고 있다. 한서 김일제 해당 구절은 다음과 같다.
初 武帝遺詔以討莽何羅功封日磾為秺侯 日磾以帝少不受封 |
무제는 임종 전에 망하라를 토벌한 일제를 秺侯(투후)로 봉하라는 遺詔(유조)를 남겼으나 일제는 소제가 아직 어리다며 작위를 받지 않고 사양했다. |
輔政歲餘 病困 大將軍光白封日磾 臥授印綬 一日 薨 賜葬具冢地 送以輕車介士 軍陳至茂陵 諡曰敬侯 | 일제는 남은 생을 보좌하다 병이 깊어졌다. 대장군 곽광은 작위에 봉함을 일제에게 알렸다. 일제는 죽음의 병상에서 인수를 받았다. 그 다음날 사망했다. 장례용품과 장지를 하사받았고 관을 이끄는 수레와 따르는 용사들을 장지인 무릉에 딸려 보냈고 시호는 경후라고 했다. |
'문무대왕릉비 연구-제3권-투후는 누구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宋書 傅隆전 “秺侯何得流名百代”(투후하득유명백대) (0) | 2025.04.15 |
---|---|
한서 김일제전 번역 (1) | 2025.04.15 |
무고지화 자치통감 기록 (1) | 2025.04.15 |
한서 유굴리전에 기재된 투후 상구성 기록 (0) | 2025.04.15 |
무고지화(巫蠱之禍)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