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로스쿨이 80년역사의 학교 심벌을 쓰지 않기로 결정한 이유
연상주의에 대한 미국사람들의 생각의 단면을 보여주는 최근의 하버드대학의 사례를 소개한다.
2016년 3월 하버드대학 로스쿨 당국은 개교 300년을 기념하여 1936년 채택 사용된 이래 80년 동안 학교의 상징물 역할을 해오던 공식 문장(紋章)을 더는 쓰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한다.[1]
그 이유는 "이 문장의 의미는 세월에 따라 변화했고", "이제 너무 많은 사람들이 그 방패 문양이 노예제와 상관이 있으며(association with slavery)”, "노예제와 관련됐다는 비판을 받는 공식 문장은 하버드대 로스쿨의 가치와 지향을 더 이상 대표하지 못하며, 오히려 분열의 원천이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2]
당시 노예제도에 기반한 설탕 대농장 경영으로 부를 축적한 로얄 주니어는 가문의 토지 재산을 기부해 1817년 하버드대학 로스쿨 탄생을 도운 인물이었다. 하지만 200여년 전 로스쿨 개교에 큰 공헌을 한 로열 주니어의 부친이 대부분의 재산을 노예들의 고난이 서린 카리브해 설탕 대농장을 통해서 일궜고 또 노예들을 혹독하게 탄압했다는 역사적 사실에서 그를 기리는 것은 시대적 가치의 변화에 따라 이제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1937년 공식 채택된 하버드대 로스쿨의 공식 문장 (School Seal)은 학교 표어(motto)인 ‘veritas’(진리) 라틴어 문구 아래 아이작 로얄(Royall Jr)의 가문 문장(family crest)에서 차용한 밀 다발 세 묶음이 그려져 있다. (그림 <A>).
그런데 왜 미국 사람들은 여기에서 노예제도를 연상하는 것일까?
주식이 쌀인 우리나라 사람들로썬 밀 다발의 노예 노동 상관성이 바로 떠오르지 않을 지 모르지만 미국 사람들은 밀 다발 묶음에서 노예제 노동의 역사를 떠올린다고 한다. 이를 설명해 주는 사진들을 가디언 신문 보도 기사에서 함께 인용하고 있는데, @ivyleaguepix 트위터 계정에 공개된 사진들 중에서 부분확대 카피하면 (사진 <B>) 쉽게 이해가 다가옴을 알 수 있다.
![]() |
![]() |
<A> | <B> |
또한 하버드 대학은 수백년에 걸쳐 사용되어 온 대학 기숙사 사감(house master)이라는 용어를 기숙사 학장(faculty dean)으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이 호칭이 노예제를 연상시켜(conjured a connection to slavery) 부적절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제도적인 차별 (Institutional Racism)’에 대해 저항하는 대학가의 항의 시위 추세를 고려하여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이다.
[1]http://www.theguardian.com/education/2016/mar/05/harvard-law-school-drops-official-shield-over-slavery-links.
[2]사람들이 생각하는 이미지 imagery가 중요하다. “The shield’s meaning has changed over time.Too many people see the association with slavery. Too many people think the shield has become an impediment. I endorse the recommendation to retire the shield because its association with slavery does not represent the values and aspirations of the Harvard law school and because it has become a source of division rather than commonality in our community.” 가디언 신문, Ibid.
'문무대왕릉비 연구-제3권-투후는 누구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명의 시기 (0) | 2025.04.14 |
---|---|
왜 역사학에서 정치 권력의 역사만이 주로 선택되었고 종교나 문학의 역사는 빠졌을까 (1) | 2025.04.14 |
역사와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0) | 2025.04.14 |
敎(교)의 의미 (0) | 2025.04.14 |
왜 많은 사람들이 창의적인 자신의 생각을 해내지 못하는가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