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무대왕릉비 연구-제4권-역사혁명

당태종 유조문

by 문무대왕 2025. 4. 22.

3. 당태종 유조문 해석

 

당태종 유언문은 장장 543글자의 긴 문장으로 쓰여 있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사항으로 요약된다. 
① 왕위를 이어받은 황태자는 막내아들 이치(李治)이고, 후계자 다툼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치는 즉시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라는 柩前即皇帝位(구전즉황제위) 지시
② 국방과 군대통솔이 국가의 가장 중요한 일이라는 軍國大事不可停闕(군국대사불가정궐)의 책임 당부
③ 장례식을 간소하게 치르라는 부탁
④ 역사와 조상의 업적에 비추어 자기 자신을 부단없이 성찰하고 경계하라는 책무 강조.  

 

唐太宗 遺詔[1]

 

夫天命之重 綠錯奉其圖書 天子之尊 赤縣先其司牧 而功兼造化 橋山之樹已陰 業致昇平 蒼梧之駕方遠 至於平寇亂 安黎元 灑洪災 攘大患 黃帝之五十三戰 商湯之二十七征 以此申威 曾何足算 昔者亂階斯永 禍鐘隋季 罄宇凝氛 曀昏辰象 綿區作梗 搖蕩江河 朕拂衣於舞象之年 抽劍於斬蛇之地 雖復妖千王莽 戮首 兇百蚩尤 釁屍軍鼓 垂文暢於炎野 餘勇澄於 前王不辟之土 悉請衣冠 前史不載之州縣 再維地軸 更張乾絡 禮義溢於寰瀛 菽粟同於水火 破舟船於靈沼 收干戈於武庫 辛李衛霍之將 咸分土宇 縉紳廊廟之材 共垂帶綬 至於比屋黎元 關河遺老 或贏金帛 或齋倉儲 朕於天下士大夫 可謂無負矣 朕於天下蒼生 可謂安養矣 自櫛風沐雨 遂成弭 憂勞庶政 更起沈 況乃漢苦周勤 禹堯臘 以矜百姓之所致也 道存物往 人理同歸 掩乎元泉 夫亦何恨矣 皇太子治 大孝通神 自天生德 累經監撫 熟達機務 凡厥百僚 群公卿士 送往事居 無違朕意 屬纊之後 七日便殯 宗社存焉 不可無主 皇太子即於柩前即皇帝位 依周漢舊制 軍國大事 不可停闕 尋常閑務 任之有司 文武官人 三品已上 並三日朝晡哭臨 十五 事畢便出 四品已下 臨於朝堂 其殿中當臨者 非朝夕臨 無得擅哭 諸王都督刺史任者 並來奔喪 濮王 萊五 不在來限 其方嶽牧 在任官人 各於任所 哀三日 其服紀輕重 宜依漢制 以日易月 園陵制度 務從儉約 昔者霸陵不掘 則朕意焉 遼東行事並停 太原元從人見在者 各賜勛官一級 諸營作土木之功 並宜停斷

 

 

원문 독음
夫天命之重 綠錯奉其圖書
天子之尊 赤縣先其司牧 而功兼造化
橋山之樹已陰 業致昇平
부천명지중 녹조봉기도서
천자지존 적현선기사목  이공겸조화 

교산지수이음 업치승평
蒼梧之駕方遠 至於平寇亂
安黎元 灑洪災 攘大患
黃帝之五十三戰 商湯之二十七征
以此申威 曾何足算
창오지가방원 지어평구란
안려원 쇄홍재 양대환
황제지오십삼전 상탕지이십칠정
이차신위 증하족산
昔者 亂階斯永 禍鐘隋季
罄宇凝氛 曀昏辰象
綿區作梗 搖蕩江河
석자 난계사영 화종수계
경우응분 에혼진상
면구작경 요탕강하
朕拂衣於舞象之年
抽劍於斬蛇之地
雖復妖千王莽 戮首
兇百蚩尤 釁屍軍鼓
짐불의어무상지년
추검어참사지지
수복요천왕망 륙수돈차
흉백치우 흔시군고
垂文暢於炎野 餘勇澄於
前王不辟之土 悉請衣冠
前史不載之 並爲州縣
수문창어염야 여용징어투극
전왕불피지사 실청의관
전사부재지향 병위주현
再維地軸 更張乾絡
禮義溢於寰瀛 菽粟同於水火
破舟船於靈沼 收干戈於武庫
辛李衛霍之將 咸分土宇
縉紳廊廟之材 共垂帶綬
至於比屋黎元
關河遺老 或贏金帛 或齋倉儲
朕於天下士大夫 可謂無負矣
朕於天下蒼生 可謂安養矣
재유지축 경장건락 
예의일어환영 숙속동어수화
파주선어영소 수간과어무고
신이위곽지장 함분토우
진신랑묘지재 공수대수
지어비옥려원

관하유로 혹영금백 혹재창저
짐어천하사대부 가위무부의
짐어천하창생 가위안양의
自櫛風沐雨 遂成弭
憂勞庶政 更起沈
況乃漢苦周勤 禹堯臘
以矜百姓之所致也
자즐풍목우 수성미려
우로서정 경기침아
황내한고주근 우변요랍
이긍백성지소치야
道存物往 人理同歸
掩乎元泉 夫亦何恨矣
도존물왕 인리동귀
엄호원천 부역하한의
皇太子治 大孝通神
自天生德 累經監撫 熟達機務
황태자치 대효통신
자천생덕 루경감무 숙달기무
凡厥百僚 群公卿士
送往事居 無違朕意
屬纊之後 七日便殯
범궐백료 군공경사
송왕사거 무위짐의
속광지후 칠일편빈
宗社存焉 不可無主
皇太子即於柩前 即皇帝位
依周漢舊制     
종사존언 불가무주
황태자즉어구전 즉황제위
의주한구제
軍國大事 不可停闕
尋常閑務 任之有司
군국대사 불가정궐
심상한무 임지유사
文武官人 三品已上
並三日朝晡哭臨 十五
事畢便出 四品已下 臨於朝堂
其殿中當臨者 非朝夕臨
無得擅哭

諸王爲都督刺史任者 並來奔喪 濮王
萊五 不在來限

其方鎭嶽牧 在任官人
各於任所 哀三日
문무관인 삼품이상
병삼일조포곡임 십오거음
사필편출 사품이하 임어조당
기전중당임자 비조석임
무득천곡
제왕위도독자사임자 병래분상 복왕 래오 부재래한
기방진감목 재임관인
각어임소 거애삼일
其服紀輕重
宜依漢制 以日易月

園陵制度 務從儉約
昔者霸陵不掘 則朕意焉
기복기경중
의의한제 이일역월

원릉제도 무종검약
석자 패릉불굴 즉짐의언
遼東行事並停
太原元從人見在者
各賜勛官一級
諸營作土木之功 並宜停斷
요동행사병정
태원원종인견재자
각사훈관일급
제영작토목지공 병의정단

 

 



[1] 遺詔, 《全唐文》卷9 (輯者 董誥 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