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6

서문 Ⅱ. 들어가기 ● 35 들어가기 서 문책을..펴내면서 이 책은 삼국통일을 이룩한 문무왕에 대한 역사 교과서, 대학 참고서, 학계 연구서의 서술 내용을 정면으로 도전하고, 정면으로 반박하고 새롭게 역사적 진실을 밝혀낸다. 이 책은 문무왕릉비 비문 내용을 새롭고 정확하게 해석하고, 지금까지의 “국사편찬위원회”(이하 “국편위”로 표기)가 문무왕릉비 비문을 번역하고 해석한 그 글과 내용을 정면으로 통박한다. 또 문무왕릉비의 정확한 해석을 통해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저지른 역사 조작을 만천하에 밝혀내, 오천년 한국사의 비밀의 문을 열어낼 황금열쇠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책은 학문의 전당에 들어선 대학생은 물론이고 교육자, 역사가, 박물관, 예술관 담당자, 문화 정책을 담당하는 공무원과 교수와 교사에게 매우 중요.. 2025. 3. 27.
위대한 한국 -들어가기-마지막 하나를 어떻게 성취하는가 하나를 어떻게 성취하는가? ‘구슬도 꿰매야 보배’라는 속담이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작은 것을 무시하거나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세상의 모든 일은, 참나무도 도토리에서 나오듯이, 하나의 작은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제 아무리 천하의 어려운 일이라도 쉬운 일부터 시작하면 풀리는 법이고, 제 아무리 천하의 큰 일이라고 해도 반드시 아주 미세한 부분에서부터 시작된다.”[1] 열자가 “우공이산”의 비유를 잘 설명해주고 있는데, 성공의 결정적인 측면 하나는 한 걸음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사실이다. “천리 길도 한 걸음에서 시작된다.”[2] 결국은 실행만이 중요한 의미를 가져온다. 실행없이 탁상공론으로 맹자왈공자왈만 외친다면 어찌 한 걸음의 시작이 있을 수 있겠는가?  뉴튼은 사과 하나를 얻어서 만유인력을 발견.. 2025. 3. 27.
문무왕릉비 (文武王陵碑) 비문뒷면 제20행 “분골경진” 해석 문무왕릉비 (文武王陵碑) 비문뒷면 제20행 “분골경진” 해석*필자 추홍희추홍희는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UNSW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고, NSW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호주 변호사가 되었다. UNSW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로스쿨에서 법학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머리말1.    문무왕릉비 비문 앞면 제3행 경진씨 해석2.    문무왕릉비 비문 뒷면 제20행 분골경진 해석▨命凝眞 貴道賤身 欽味釋▨ 葬以積薪 ▨▨▨▨ ▨▨▨滅 粉骨鯨津 嗣王允恭 因心孝友 冈▨▨▨맺음말영문초록참고문헌  머리말문무왕릉비 비문 뒷면 제20행에 나오는 “粉骨鯨津”(분골경진)을 국사편찬위원회는 “경진(鯨津)에 뼛가루를 날리셨네”라고 번역 해석하였다. .. 2025. 3. 27.
희망은 어떻게 발견하는가 60 ● 위대한 한국 문무대왕릉비 연구 ④ 문무왕릉비 비문 앞면 원문 1행 □□國新羅文武王陵之碑 及飱國學少卿臣金▨▨奉敎撰2행 □□□通三後兵殊▨▨▨匡▨配天統物畫野經圻積德▨▨匡時濟難應神▨▨▨▨ ▨靈命□□□ 3행 □□□□□□□□□□□□□□派鯨津氏映三山之闕東拒開梧之境南鄰▨桂之▨▨接黃龍駕朱蒙▨▨▨▨承白武仰□□ 4행 □□□□□□□□□□□□□□問盡善其能名實兩濟德位兼隆地跨八夤勲超三▨巍巍蕩蕩不可得而稱者▨▨▨▨我新▨▨ 5행 □□□□□□□□□□□□□□君靈源自継昌基於火官之后峻構方隆由是克▨▨枝載生英異秺侯祭天之胤傅七葉以□ 6행 □□□□□□□□□□□□□□焉▨▨十五代祖星漢王降質圓穹誕靈仙岳肇臨▨▨以對玉欄始蔭祥林如觀石紐坐金輿而」7행 □□□□□□□□□□□□□□大王思術深長風姿英拔量同江海威若雷霆▨地▨▨▨方卷蹟停烽罷候萬里澄.克勤開▨」8행 □□.. 2025. 3. 27.
신라 문무대왕릉비 비문 1행 신라 문무왕릉비비문1행-28행해석⚜⚜⚜  “鯨津氏”(경진씨)는 누구인가?  첨부사진은 태종무열왕의 비문 헤더 “太宗武烈大王之碑” 탁본 (劉喜海 東武劉氏著錄, “海東金石苑”, 二銘艸堂 校刊, 1881년, 12쪽)비문 3행의 □□派鯨津氏映三山之闕 구절의 “鯨津氏”(경진씨)에 대한 아래의 해석과 설명을 참조하라. 1행 신라 문무왕 & 김소경    國新羅文武王陵之碑 及飱國學少卿臣金▨▨奉 敎撰국편위 번역: … 국 신라 문무왕릉의 비이다. 及飱인 國學少卿[1] 金□□가 敎를 받들어 찬하다. 추홍희 번역: (대당 상주)국 신라 문무왕릉의 비이다.  급찬 국학소경 김□□이 왕명에 의해 비문을 짓고 이에 바친다. 국 신라 문무왕릉지비 급찬 국학 소경 신 김▨▨ 봉 교찬 敎[2]撰 교찬“敎”(교)는 管教 또는 令을 뜻하니.. 2025. 3. 27.
문무대왕릉비 비문 앞면 2행 2행 得一通三 득일통삼 & 配天統物 배천통물 □□□通三後兵殊□□□匡□配天統物畫野經圻積德□□匡時濟難應神□□□□□靈命□□□국편위 번역: … 하늘을 짝하여 사물을 잘 다스리고, 땅의 경계를 구분하며, 덕을 쌓아 … 시대의 어려움을 구제하고, 신에 응하여 …추홍희 번역: 통신삼부(洞眞통진 洞玄통현 洞神통신의 三部)를 통달하고 득도하였다.군대를 일치단결 화합의 정신으로 이끌었다.세상을 구제하는데 정치의 중심을 두고 정사를 보살폈다.하늘의 부름으로 천자의 자리에 올라 교외의 산천에 나가서 제천의식을 거행하고 온 나라를 통치하였다.화폭과 도면 위에 그림을 그려가는 것처럼 청사진을 펼치고 국가를 계획적으로 관리 경영해 나갔으며, 원대한 미래를 내다보고 베틀로 비단 짜듯이 치밀하게 통치해 나갔다.덕행을 쌓고 좋은 일을 .. 2025.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