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6 비문 앞면 26행 해석-자기비판의 역사 26행 罪己詔(죄기조)-자아비판 ▨▨▨▨▨▨▨▨▨▨▨▨▨▨▨▨▨詔君王使持節▨」 국편위 번역: 군왕에게 조서를 내려, 사지절(使持節) … 으로 봉하였다. … 추홍희 해석: 군왕급과 사지절들을 초치하여 (唯疑請以 上代之政) (역사 공부를 하면서 마음가짐을 새롭게 다지게 했다). 詔(조)의 의미 쓰임새詔(조)는 제갈량의 출사표에 나오는 “以諮諏善道 察納雅言 深追先帝遺詔” (마땅히 스스로 헤아리시어 옳고 바른 방도를 취하시고, 신하들의 바른 말을 잘 살펴 들으시어 유비 선제께서 남기신 명령을 끝내 완수하옵소서) 구절처럼, 황제의 명령을 의미하는 명사로 쓰인다. 또 詔(조)는 굴원의 이소경에 나오는 “麾蛟龍使梁津合 詔西皇使涉予”(휘교룡사량진합 조서황사섭여), ‘교룡을 부려 나루터에 다리를 놓고, 소호금천씨에게 .. 2025. 3. 31. 비문 앞면 25행 해석-북방 오랑캐 여진족 만주족의 역사 삼국 정립 시대가 아닌 남북국 시대 관점 필요성 삼국사기는 많은 부분에서 실제적인 역사에 부합되지 않고, 또 가장 중요한 내용과 부분들에서 역사를 교묘하게 조작하였다. 삼국사기는 많은 부분에서 거짓과 조작이 가미되고 편집되고 가공되고 희화화되고 진실이 탈루된 조작과 망작의 위서에 해당한다. 읍루족 가운데 신라에 귀순하지 않고 구당서가 서술하였듯이 고구려의 풍속을 유지하고, 별도의 왕조를 체제를 세웠던 발해국은 당나라와 통일신라가 망한 이후 고구려를 계승한 고려에 귀순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한반도의 역사 시대 구분의 관점은 현재 많은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도 갖고 있는 “삼국”시대 즉 삼국 정립 시대가 아니라, “남북국” 시대로써 전체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리얼하게 바라보는 통합적 시각을 요구한다... 2025. 3. 31. 비문 앞면 25행 해석-挹婁(읍루)족과 여진족의 귀순 25행 挹婁(읍루)족과 여진족과 만주족 ▨▨▨▨▨▨▨▨▨▨▨▨▨▨之風北接挹婁蜂▨▨」 국편위 번역: 교화가 북으로 읍루(挹婁)에까지 접하니, 벌떼처럼 … 추홍희 해석: (歸德)之風 덕으로 주변을 교화시키는 덕화정치의 바람이 산을 흔들듯이 세차게 불어서, 北接挹婁 북쪽으로 국경을 맞대어 있는 읍루까지 불어서, 蜂(翔吐飯) (호전적이던 읍루족이 마치 벌꿀이 만들어지듯이 완전히 변화해서 귀순해 왔고 감히 도발할 생각은 꿈에도 하지 못하고 그리하여 평화가 정착되고 서로 잘 살게 되었다.) ▨▨之風 北接 挹婁 蜂▨▨▨歸德之風 搖山之風歸德(귀덕)은 덕화정치 德政(덕정)으로 인해서 귀부(歸附) 귀순(歸順)해 온다는 뜻이다. 한나라 응초의 글에 “京師歸德 四方影附”의 예가 그것이다. 비문의 결자부분을 전후 문맥상 연.. 2025. 3. 31. 비문 앞면 24행 해석-민족중흥 오태백 24행 민족중흥 오태백(吳泰伯)은 누구인가? 貺更興泰伯之基德 국편위 번역: 진백(秦伯)의 터전를 다시 일으켰다. … 추홍희 해석: 오나라 시조 오태백은 덕치에 기반하여 새나라를 건설했는데, 그와같은 도덕정치로 민족 중흥의 선물을 가져다 주었다. 국편위는 글자 판독을 “秦伯”(진백)으로 하였으나, 정확한 판독글자는 진백이 아니라, 유희해의 판독대로 “泰伯”(태백)이 옳다. 貺更興貺황은 선물을 주다, 선사하다, 베풀다의 贈(여) 賜(사)의 뜻이다. 更興(경흥)은 復興(부흥) 中興(중흥)과 같은 말이다. 貺更興은 민족 중흥의 선물을 가져왔다는 뜻이다. 민족 중흥은 그 바탕인 민족 정신의 부활을 의미한다. 그것은 정신적 복록이고 축복인 것이다. 이런 의미를 갖는 단어는.. 2025. 3. 31. 비문 앞면 23행 해석-無爲(무위) 사상은 무엇을 말하는가? 23행 無爲(무위)와 無不爲(무불위)는 무엇을 말하는가? □□□□□□□□□□□□朝野懽娛縱以無爲無□□□□ 국편위 번역: 조야(朝野)가 모두 즐거워하니, 굳이 애써 행함이 없다고 하더라도 … 추홍희 해석: 조정의 관리들이나 일반 백성들이 다들 좋아라 하였다. 강요하거나 구속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하게 만들고, 무위의 정치 이념에 따라서 나라 전체가 스스로 굴러 가게 만드니, (사람들은 본성대로 제 스스로 알아서 자기 일을 해나갔고 그리하여 국가와 백성은 날로 부강해지고 잘 살게 되었다. 무위의 사상이 천하를 통치하는 제왕의 원칙으로 적합하다.)朝野懽娛 조야환오懽娛(환오)는 歡樂(환락), 喜樂(희락) 즉 좋아하고 기뻐한다는 뜻이다. 懽(환)은 歡(환)과 같은 글자이다. 여씨춘추에 나오는 “不謀而親 不約而信.. 2025. 3. 31. 비문 앞면 22행 해석-천하의 인재를 어떻게 찾는가? 22행 悠仁訪道(유인방도)-천하의 인재를 어떻게 찾는가? □□□□□□□□□□□□□所寶惟賢爲善最樂悠仁□□ 국편위 번역: … 보배로 여기는 바는 오직 어진 사람이니, 선(善)을 행함을 가장 즐거워하고, 인(仁)을 ▨함을 … 추홍희 해석: 오로지 재덕을 갖춘 그런 능력 있는 사람을 찾아내 직위를 수여하는 인재 채용 원칙을 지켰다. 선을 행하는 것을 스스로 기쁘게 여기고 선을 행하는 (문화를) 이루었다. 능력있는 인재를 찾는 길이라면 천리 길을 마다하지 않고 찾아가서 숨은 인재를 초빙해 왔다. 所寶惟賢所(소)는 장소 곳, 處(처), 寶(보)는 진귀보물, 惟賢(유현)은 授職惟賢(수직유현)의 의미이다. 授職惟賢(수직유현)은 오로지 재덕(才德)을 갖춘 그런 능력있는 사람에게만 직위를 수여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2025. 3. 31. 비문 앞면 21행 해석-3년 전쟁 비축 21행 三年苦役(삼년고역)의 의미 21행□□□□□□□□□□□□□□□□□□□三年而已至龍朔元年□국편위 번역: 삼년이었다. 용삭(龍朔) 원년(元年)에 이르러 … 추홍희 해석: (三年化碧)(三年之畜) (擧事制勝於)三年 전쟁은 3년 이내에 끝내야 한다는 원칙이 있다. (통일 전쟁이 끝난 때인) 龍朔元年(용삭원년) 즉 서기 661년 까지) 3년이 걸렸다. 三年之畜已至(이지)는 已到(이도)와 같은 말로 걸리다, 이르다의 뜻이다. 삼년고역 3年苦役 우리들 우스개 소리에 서당개 삼년이면 라면을 끓일 줄 안다는 말이 있는데, 그와 같이 3년이면 무엇이든 완성해 낼 수 있는 시간으로 친다. 부모가 돌아가시면 삼년상三年喪을 치룬다고 했고, 군대도 3년 복무했고, 공부 마치는 기간도 3년으로 정해져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 2025. 3. 31. 비문 앞면 20행 해석-적은 언제 항복하는가 20행 元惡泥首(원악니수) 적의 우두머리들은 언제 항복하는가? □□□□□□□□□□□□□□□□□□□□□□□□□□□□□□□□□□□□□□□□□至賊都元惡泥首轅門佐吏국편위 번역: 적의 수도(首都)에 이르자 그 우두머리가 군문에서 머리를 조아리며 사죄하였고, 그 좌리(佐吏)들도 … 추홍희 번역: (兵追奔)至賊都 (패퇴하는 적군을 우리 병사들이 쫓아 추격하여) 적군의 수도에 이르니, 적의 우두머리들은 외문에까지 나와서 머리를 조아리며 항복을 해왔고, 지방 좌리 하급 무리들과 (포의검수 일반백성들 또한 모두 머리를 숙이고 귀순해왔다).□□□兵追奔 至賊都□□□至賊都 부분의 결자를 전후문맥상 의미 고리를 찾아서 “兵追奔至賊都”으로 메꾸어 볼 수 있다. 패퇴하는 적군을 우리 병사들이 쫓아 추격하여 적군의 수도에 이.. 2025. 3. 31. 비문 앞면 19행 해석-황산벌 전투의 전투대형 19행 列陣黃山蝟聚鴟張 열진황산 위취치장□□□□□□□□列陣黃山蝟聚鴟張欲申距□□□□□국편위 번역: 황산(黃山)에 군진을 펼치니, 적들이 고슴도치와 올빼미처럼 모여들어 (진군을) 가로막고자 하였다. … 추홍희 해석: 황산에 전투 전개의 군진을 쳤다. 송곳모양처럼 돌격해오는 적의 어린진 공격에 대해서 독수리매가 양날개를 펼치듯 학익진을 치고 적을 포위하고, (적의 결사대가 직진돌파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하고서) 중앙지휘부는 뒤로 약간 물러나 있다가 (양 옆에서 조이고 뒤에서 후려치는 전술을 구사했고 또 어떠한 상황에서도 결코 흔들리지 않는 목계술을 견지했다).列陣黃山 蝟聚鴟張 欲申距□ 列陣 黃山列陣(열진)은 布列陣勢(포열진세)를 말하고, 황산은 지명이다. 列陣黃山(열진황산)은 황산벌 전투에서 양측이 전투.. 2025. 3. 31. 비문 앞면 18행 해석-660년 전쟁 상황과 소정방 평전 18행 660년 전쟁 상황과 소정방 평전 □□□□□□□□□□熊津道行軍大摠管以 君王□□국편위 번역: … (소정방을) 熊津道 行軍大總管*으로 삼고, 君王**을 … (* 그 직명으로 볼 때 당시 唐軍의 총사령관이었던 蘇定方이다). **(본 비문의 주인공인 文武王을 가리킨다). 추홍희 해석: (660년 소정방을) 웅진도행군 대총관으로 삼고 군왕들로 하여금 (진지를 확고히 재정비하고 적의 공격에 대비하게 하였다). □□□□熊津道行軍大摠管이 부분은 신구당서, 삼국사기, 자치통감, 태평어람 등의 기록을 참조하여 메꾸어 볼 수 있다.[1] 당나라가 망한 이후의 새롭게 편찬된 역사서는 새로운 왕조와 그 고위층의 지배이념에 따라 역사가 수정된 경우가 많으므로 비교적 편찬 시기가 빠른 예컨대 태평어람의 기록이 훗날에 재.. 2025. 3. 31. 비문 앞면 17행 해석-당랑포선 황작재후 17행 首鼠之謀(수서지모) & 당랑포선 황작재후 近違鄰好頻行首鼠之謀外信 국편위 번역: 이웃나라와의 우호를 어기고 자주 이쪽 저쪽으로 붙으려 하면서, 겉으로는 …을 믿는 척하니 …하지만 이러한 국편위의 번역은 “頻行”과 “首鼠之謀”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해 내지 못한 부족함이 있다. 추홍희 해석: 이웃나라와의 선린우호 관계를 조금이라도 해치려는 시도를 결코 용납하지 않는 단호한 정책을 기본으로 하고, 처한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는 외교 정책의 유연성의 지혜를 병행하였다. (선린우호 수서지모 당랑포선 황작재후 외유내강의 외교 정책의 기조하에) 외국에는 신임을 얻고 그들을 안심시키는 정책을 펼쳤다. 왜 수서양단의 외교정책을 필요한가? 近違鄰好결자 부분의 내용은.. 2025. 3. 31. 비문 앞면 16행 해석-천사는 언제 감동받는가? 16행 感通天使 천사는 언제 감동받는가? □□□□□□□□□□□□□□□□□□□□感通天使息其眚蘋安然利涉□□□□국편위 번역: … 천사(天使)도 감통(感通)시켜 그 재앙을 그치게 하니, 편안하고 쉽게 건너 … 추홍희 해석: (지극정성으로) 천사도 감동하게 만들어 (천사의 도움으로) 거친 풍랑이 멈추고 무사히 안전하게 바다를 건널 수 있었다. 感通天使天使여기의 “天使”(천사)라는 말은 일반명사가 아니라 종교적인 어휘로 해석함이 옳다. 기독교의 하늘의 천사 에인젤(angel)하고 그 의미가 같고, 장도릉(張道陵)의 天師道(천사도)를 일러준다.感通天使(감통천사)는 그의 지극정성이 ‘천사도 감동하게 만들어’의 뜻이다. 息其眚蘋青蘋(청빈)과 眚蘋(생빈) 비문의 판독글자인 眚(생)은 눈병 백태, 재난, 고질병을 뜻하는.. 2025. 3. 31. 비문 앞면 15행 해석-사람은 죽어서야만이 안식을 얻게 되는가? 15행 사람은 죽어서야만이 안식을 얻게 되는가? 生於憂患 死於安樂 노동자의 신 부열성 □□□□□□□□□□□□□□□□□□著□□□而光九列掌天府以□□국편위 번역: 빛나고, 구렬(九列)은 천부(天府)를 관장하여 … 추홍희 해석: 희미하게 깜빡깜빡거리는 아홉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騎辰尾星(기진미성)-사람이 죽으면 그 정수리를 맡아 준다는 동방청룡의 끝자리 아홉개 별들로 이루어진 별자리-에 우리의 운명을 맡기고 희망을 부여잡아 항해를 계속하여, 하늘의 뜻을 얻어냈다 (진인사대천명의 자세로써 자강불식의 노력을 한 결과 마침내 꿈을 성취해냈다). 국편위는 구렬(九列)과 천부(天府)의 의미를 해석하지 못하고 있다. 著□□□而光九列掌天府以 구절에서, 九列(구열)은 사람이 죽으면 그 정수리를 맡아 준다는 동방청룡의 끝자리 .. 2025. 3. 31. 비문 앞면 14행-슬픔은 파도를 넘고 14행 슬픔은 파도를 넘고 - 舜海而霑有截懸 堯景以燭無垠 □□□□□□□□□□□□舜海而霑有截懸堯景以燭無垠국편위 번역: 순(舜)임금은 바다와 같이 덕을 내려도 절현(截懸)이 있었고, 요(堯)임금은 해와 같이 밝게 비추어도 은▨(垠▨)이 없었다. …추홍희 번역: (哀思如潮 극도(極度)의 비통한(悲痛)한 심정) (漲)舜海而霑有截 (슬픔과 사모의 정이 솟구치고 밀물처럼 밀려와) 애도의 물결은 파도를 타고 바다 건너 먼 해외에까지 적셨다. 懸堯景以燭無垠 높이 내걸린 추모의 등불은 끝없이 넓은 곳 광대무변의 모든 지역까지 비추었다. (존경하고 숭모하는 추모의 정이 끝없이 모든 지역에서 타올랐다). 비문 13행과 비문 14행□□□□□□□□□□□□□□□□□□□□□ 宮車晏駕遏密在辰以□□□□□□□□□□□□□□□□□□.. 2025. 3. 28. 비문 앞면 13행 해석-국왕이 서거하다 13행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갈라지는 슬픔은 언제 느끼는가?□□□□□□□□□□□□□□□□□□□□□□□□□□□□□□□□□□□□□□□ 宮車晏駕遏密在辰以□ 국편위 번역: 임금이 돌아가시고 풍악은 멎었다. 무진 이후에 …추홍희 해석: (오호애제라) 문무대왕이 서거하셨다. 대왕의 수레가 아침 먹는 시간대인 진시(오전 7-9시)에 그만 영원히 멈추었다. 宮車晏駕宮車(궁차)는 제왕이 앉는 수레 마차이고 晏駕(안가)는 제왕의 죽음을 나타내는 만가(晩駕)하고 같은 뜻의 단어이다. 宮車晏駕(궁차안가)는 왕의 죽음을 뜻하는 가붕(駕崩)과 같은 의미의 조심스런 완사적 표현이다. 遏密在辰박정희대통령이 저격 당해 운명했을 때 정규방송이 중단되고 애통한 조의 음악만이 흘러 나왔다. 국가의 최고 지도자가 운명하면 풍.. 2025. 3. 28. 비문 앞면 12행 해석-당태종의 애사지도-3 大唐太宗文武聖皇帝 대당태종문무성황제 진자앙의 唐故朝議大夫梓州長史楊府君碑銘 비명에 “太宗文武聖皇帝初臨天下 物色幽人 焚山榜道 綱羅遺逸” 구절이 나타난다.당태종 이세민(李世民598-649)은 당나라 제2대 황제였다. 당태종의 아버지 이연이 大野氏(대야씨)인데 대야란 곳은 양산이니 천자의 사냥터를 말한다. 유방이 한신을 운몽의 사냥터로 유인하여 죽음을 안겼듯이 예로부터 사냥터는 대권을 결정하는 승부의 결전장이었다. 수렵이란 전쟁에 다름 아니었고 천자의 사냥터를 지키는 것은 천자를 지키는 것과 동일한 의미였다. 사냥은 활과 화살로 하고 활과 화살은 나무로 만들어진다. 대야씨가 사냥터를 지키는 집안 족속이라면 와신상담의 명수 월나라 구천 또한 같은 사냥터를 지키는 추오족이었으니 이들은 거슬려 올라가면 같은.. 2025. 3. 28. 비문 앞면 12행 해석-이목지신-2 어떻게 부강한 나라를 만들 것인가? 송나라 왕안석의 상앙의 시를 보면 국가의 신뢰는 어디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왜 자본주의 체제에서 사기를 치지 않는 것이 각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도 유리한지에 대해서는 이미 아담 스미스가 밝혀냈다.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엄정하게 법집행의 중요성을 강조한 법가의 대표적인 사상가는 상앙이었다. 진시황제가 태어나기 약 1백년 전에 상앙은 “개간령”[1] 법률을 제정하여 전답을 개척하고 국부를 창조하고자 했다. 그런데 새로운 법의 효과에 대해서 국민들은 의구심이 컸다. 황금을 캐려고 하면 실제로 황금이 발견되어야 한다. 금광이 발견되었다는 소문만 나면 사람들은 누가 가지 말라고 해도 서로 가려고 난리가 난다. 사람의 동기는 누가 어떻게 부여하는가? 나라가 부.. 2025. 3. 28. 비문 앞면 12행 해석-이효치국-1 12행 문무왕 & 당태종 以孝治國 이효치국12행 □□□□詩禮之訓姬室拜槗梓之□□□□□□□□□□□□大唐太宗文武聖皇帝應鴻社□국편위 번역: 시(詩)와 예(禮)의 가르침에 … (하고), 주나라는 교재(橋梓)의 ▨에 경의를 표하였다. … 당나라 태종문무성황제(太宗文武聖皇帝)가 사직의 ▨에 응하여 … 추홍희 해석: (신하들은 항상 바른 길을 걷고 국가와 정의를 위해서 진실대로 간언하여야 하고)[1], 자녀들은 부모의 가르침을 믿고 따르며, 제후는 부자간의 믿음의 원칙을 지키고 결코 패역을 저지르거나 교만하면 아니된다. 당태종 이세민은 (전쟁에서 희생된 군사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고 국가가 나서서 위령제를 지내주었다). 12행 不言而信(불언이신)과 以孝治國(이효치국)-아버지의 엄명은 무엇이었는가?以孝治國(이효치국)姬.. 2025. 3. 28. 비문 앞면 11행 해석-학문의 통달자 11행 恬雅輔質 염아보질 & 學綜古今中外 학종고금중외 ▨▨恬▨輔質情源湛湛呑納▨於襟▨ 握話言成範容止加觀學綜古」국편위 해석: 바탕을 돕고, 정(情)의 근원은 맑디맑아, 삼키어 받아들임은 금▨(襟▨)에 ▨하였다. … 하시는 말씀은 규범을 이루고, 용모와 행동은 가히 볼 만하였으며, 학문은 고(금)을 두루 통하였다.추홍희 해석: 恬(雅)輔質 情源湛湛 呑納(總)於 襟(內) (運籌唯)握 話言成範 容止加觀 學綜古(今中外)▨」(조용하고 차분한 마음과 바른 자세를 추구하고 길러서) 아름다운 문체로 질박하고 소박한 것을 보충하여 소박하지만 조잡하지 않고 단순하되 아름다우며, 원래부터 맑고 깨끗함이 깊고 넘치니, 허심탄회한 자세로 진실하게 터놓고 말하면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이었다. 멀리 내다보.. 2025. 3. 28. 비문 앞면 10행 해석-천년 왕조 개창 10행 천년 왕조 개창 ▨▨▨▨▨▨▨▨▨▨▨▨▨▨▨▨記▨峯而▨幹契半千而涎命居得一以▨▨▨▨▨▨照惟幾於丹府義符惟興洞精鑒▨」 국편위 번역: … ▨봉(▨峯)을 ▨하여 ▨간(▨幹)하고, 5백년을 기약하여 큰 명을 내려주니, 거하면 모두 … 함을 얻었고, … 비춤은 단부(丹府)에 거의 가까웠다. 의(義)는 성(性)에 부합하여 일어나고, 깊은 정은 … 을 살펴 … 추홍희 해석: (유유히 돌아가는 강물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기러기 떼가 붕정만리를 질서정연하게 쉬지도 않고 날듯이) 오래도록 나라가 오백년 이상 갈 천명을 보장하는 기운과 지맥을 가진 오봉에서 하늘의 명령 천명을 받고, 심산유곡 동굴에서 수련하고 득도하여 천하를 바로잡고자 일어섰다. 오로지 도를 통달하고 나서야 세상을 바로잡을 수 있는 것이다. 오직 .. 2025. 3. 28. 비문 앞면 9행 해석-승의자 승덕자 9행 承意者 승의자 & 承德者 승덕자□□□□□□□□□□□□□□□挹宀舍謙乃聖哲之奇容㤙以撫人寬以御物□□者全知其際承德者咸識其隣聲溢間河□국편위 번역: ▨▨사회(▨▨舍誨)는 곧 성철(聖哲)의 뛰어난 모습이라, 은혜로써 사람들을 어루만지고 너그러움으로써 사물을 다스리니, … 한 자는 그 시기를 알고, 덕을 이어받은 사람은 모두 그 이웃을 알아보니, 그 명성이 한하(閒河)에까지 넘쳤다. …추홍희 번역: 挹宀舍謙 乃聖哲之奇 겸손함은 성현철인들에게서 보여지는 특이한 점인데, 그는 매우 겸손하였으니 성인철현의 반열에 들어섰다고 말할 수 있다.容㤙以撫人 寬以御物그는 남을 용서하고 포용하고 받아들여서, 정성껏 키워주는 은혜를 베풀었으며, 임금님 자신에게 속하는 물건에도 관대하게 대해 남들에게 후하게 베풀었다.□□者皆知其際그가.. 2025. 3. 28. 비문 앞면 8행-후손들에게 남긴 값진 유산 8행 垂裕於後裔 후손들에게 남기는 풍부하고 값진 유산 □當簡▨之德內平外成光大之風邇安遠肅▨功盛▨▨▨於將來㬪粹凝貞 垂裕於後裔」국편위 번역: 간▨(簡▨)의 덕에 내외가 평화로워지고, 광대한 기풍에 원근이 편안하고 깨끗해지니, ▨공(▨功) 성▨(盛▨)은 장래에 … 하고, 쌓이고 뭉친 순수함과 곧음은 후예들에게 넉넉함을 드리워 주었다. …추홍희 번역: 선과 악을 분별할 줄 알고 악을 경계하고 선한 행동이 무엇인지 가려내고 선을 쫓아서 사리분별에 맞고 이치에 맞게 세상을 대하니, 국내의 지방 세력들은 하나의 나라로 결속되어 화평하고 안정한 삶을 누리고, 주변 적국들 또한 교화되어 평화를 도모하고 그리하여 모두가 함께 무탈하고 안정된 삶을 살아가게 되었다.지켜내려온 전통문화와 미풍양속을 더욱 고취시켰다. 국내 정치.. 2025. 3. 28. 비문 앞면 7행-치유의 능력자 7행 피 흘리는 것을 멎게 하고 소리없이 낫게 하는 치유의 권능▨▨▨▨▨▨▨▨▨▨▨▨▨▨大王思術深長風姿英拔量同江海威若雷霆▨地▨▨▨方卷蹟停烽罷候萬里澄氛克勤開▨」국편위 번역: … 대왕은 생각하심이 깊고 멀었으며, 풍채가 뛰어났고, 도량은 하해와 같았으며 위엄은 우뢰와 같았다. … ▨은 바야흐로 자취를 거두고 봉화는 멎고 척후는 파해지니, 만리의 맑은 기운은 부지런히 … 를 열었다. …추홍희 해석: 문무대왕은 생각하는 것과 생각하는 그 방법이 매우 깊고 넓었으며 멀리까지를 내다보았다. 그의 풍채와 자태는 모란꽃 봉오리같이 출중하게 뛰어났다. 사람됨의 그릇 크기는 장강과 동해만큼 크고 넓었다. 그의 권위와 위엄은 마치 천지를 진동하는 우뢰와 벼락 천둥 소리같이 크고 엄해 보였다. 피 흘리는 것을 멎게 .. 2025. 3. 28. 비문 앞면 6행 해석-성한왕은 누구인가 6행 星漢王 성한왕□□□□□□□□□□□□□□焉 十五代祖星漢王降質圓穹誕靈仙岳肇臨 以對玉欄始蔭祥林如觀石紐坐金輿而」국편위의 번역: … 15대조 성한왕(星漢王)은 그 바탕이 하늘에서 내리고, 그 영(靈)이 선악(仙岳)에서 나와, ▨▨을 개창하여 옥란(玉欄)을 대하니, 비로소 조상의 복이 상서로운 수풀처럼 많아 석뉴(石紐)를 보고 금여(金輿)에 앉아 … 하는 것 같았다. …추홍희 해석: 우리 신라의 중흥을 일으킨 중시조 성한왕은 15대조 선조이다. 신선이 사는 신령이 깃든 산에서 탄생하여, 광야가 시작되는 산모퉁이에서 삶을 시작했다. 산맥이 내려와 광야가 펼쳐지는 산모퉁이 구릉지에 두 쌍의 난간을 세우고, 상림 수목원을 가꾸기 시작했는데, 상림은 마치 하나라 시조 우임금이 태어난 곳인 석뉴를 보는 듯 했.. 2025. 3. 28. 비문 앞면 5행 해석-투후제천지윤 5행 秺侯 祭天之胤 투후 제천지윤□□□□□□□□□□□□□□君靈源自敻継昌基於火官之后峻構方隆由是克□□枝載生英異秺侯祭天之胤傅七葉以□국편위 번역: … 그 신령스러운 근원은 멀리서부터 내려와 화관지후(火官之后)에 창성한 터전을 이었고, 높이 세워져 바야흐로 융성하니, 이로부터 ▨지(▨枝)가 영이함을 담아낼 수 있었다. 투후(秺侯) 제천지윤(祭天之胤)이 7대를 전하여 … 하였다.추홍희 해석: (우리 신라 사람들은 삼황오제의 후손들이다). 까마득한 옛날까지 올라가서 조상의 뿌리를 찾으면, 창성한 왕업을 화관지후에게 이어받게 하고, (불의 임금님-화후는 요임금인데, 제곡 고신씨는) 요임금님에게 왕위를 물려 주었다.) 방정하고 드높은 구조물들을 건설하며 사방으로 반듯하게 뻗어 나갔다. 조상으로부터 복록을 이어받을 .. 2025. 3. 28. 비문 앞면 4행 해석-훈초삼황 4행 勲超三皇 훈초삼황 天下貴人 천하귀인□□□□□□□□□□□□□□問盡善其能名實兩濟德位兼隆地跨八夤勲超三□巍巍蕩蕩不可得而稱者 我新 국편위 번역: 그 능한 바를 다 잘하여 이름과 실제가 다 이루어지고, 덕과 지위가 겸하여 융성해지니, 땅은8방(八方) 먼 곳까지 걸쳐 있고, 그 훈공은 삼(한)(三(韓))에 뛰어나, 그 높고 넓음을 다 일컬을 수가 없는 분이 우리 신(라) …추홍희 번역: 아랫사람들에게 물어보는 것을 수치로 여기지 않았고 질문하기를 주저하지 않았으며 또 결코 게을리하지 않았다. 끝낸 일이든 끝내지 못한 일이든 말한 것과 실제 결과가 꼭 일치하였다. 지위가 올라감에 따라 덕망도 겸비하고 더욱 높아졌다. 그의 활동 반경과 영역은 사방 팔방 먼 변방까지 걸쳐 뻗어나갔다. 공훈이 현저하.. 2025. 3. 28. 비문 앞면 3행 해석-경진씨는 누구인가 3행 鯨津氏 경진씨 □□□□□□□□□□□□□□派鯨津氏映三山之闕東拒開梧之境南鄰□桂之□□接黃龍駕朱蒙□□□□承白武仰□□ 국편위 해석: … 경진씨(鯨津氏)를 파견하여, 삼산(三山)의 궐(闕)을 비추고, 동으로는 개오(開梧)의 지경을 막고, 남으로는 ▨계(▨桂)의 ▨과 이웃하고, (북으로는) 황룡을 맞아 주몽(朱蒙)을 태우고, … 백무(白武)를 이어 받아 …을 우러르며 … 추홍희 해석: 이에 경진씨를 파견하여 한반도의 약점을 조명하고 보고하게 하였다. 한반도는 동쪽으로는 개오라는 지역을 국경으로 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팔계 지방에 맞닿아 국경으로 삼고 있는데, 바다를 서로 접하고 있다. 하늘의 부름에 응한 천자가 여름철 붉은 서기를 타고 (준마처럼 빠르게 배를 달려) 내려오니 (전쟁을 불러온) 백호는 (자.. 2025. 3. 28. 책 내용 목차 .목차 Contents추천사 1 ································································································· 6 추천사 2 ·································································································· 8 I. 이..책의..주요..요약 ·····························································27 이 책의 주요 요약 ·············································································27 I.. 2025. 3. 27. 임무 완성-충신장 2...어떻게..임무를..달성해..낼..것인가? “충신장”은 일본인들의 마음 속에 들어있는 진수를 나타내준다고 흔히 말하는데 충신장 47인 의사들이 추앙받고 있는 이유는 47인 무사들은 죽음을 무릅쓰고 스스로 뜻을 세웠고 그 뜻을, 모든 난관을 뚫고 즉 최고권력에 맞서서까지 정해진 시간내에 한정된 자원으로 정해진 목표를, 달성해냈다는 것에 있다. 47인의 사무라이들이 영웅으로 칭송받은 까닭은 한정된 자원과 제한된 시간 가운데 전략적으로 움직여 목표를 실행해냈다는 그러한 전쟁 전략의 성공과 또 그것을 이끈 사람의 정신의 위대함에 깊은 공감을 함께 나누기 때문이다. 사람은 모두가 죽는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명제는 소크라테스의 삼단논법을 거들멱거릴 필요도 없이 장삼이사 초동목동도 다 알고 있는 진리이다. .. 2025. 3. 27. 이 책의 주요 내용 요약 I. 이 책의 주요 내용 요약 ● 27 순서 내용 쪽 1 ① 비문앞면3행의 “鯨津氏”(경진씨)는 문무왕의 인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지칭한다. “鯨津氏”(경진씨)가 신라 제29대왕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지칭한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반만년 한국사의 최대의 미스터리가 풀리게 되었다. ② 비문 뒷면 20행에 나오는 “粉骨鯨津”(분골경진)은 나라를 위해 “분골쇄신한 경진씨”라는 뜻이다. 粉骨鯨津(분골경진)은 국편위의 해석대로의 “경진에 뼈가루를 날리셨네”라는 뜻이 아니다. “鯨津”(경진)은 지금까지 다수가 해석하는대로의, ‘어느 바닷가 포구’를 말하는 지명이 아니다. “粉骨鯨津”(분골경진)의 粉骨(분골)은 삼국사기에서 기재하고 있는 “粉骨碎身”(분골쇄신)의 약자로써 “몸이 부셔지는 것도 마.. 2025. 3. 27.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