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무대왕릉비 연구-제4권-역사혁명

당태종 유조문 해석-5

by 문무대왕 2025. 4. 22.
9 道存物往 人理同歸 掩乎元泉 夫亦何恨矣
  道도는 법칙法則 법리法理 규율規律 도덕道德 도의道義 방법方法 기술技術 예술藝術 등의 뜻으로 이해된다. 또 道는 노자 장자 등 道家도가, 도교를 뜻한다.
 
物물은 사물事物, 생물生物, 자신을 둘러싼 환경環境, 내용을 뜻하는 말이다. 
 
道存物往도존물왕은 물건이나 환경은 변해도 그것을 규율하는 자연 법칙은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법적으로 보면 자연법 Natural Law 사상이다. 자연법은 정치 체제, 사회나 국가의 변동과는 관계없이 우주법칙처럼 변함없이 존재하는 최상위법이 존재한다는 법사상이다.

人理인리는 사람의 행동거지를 규율하는 도덕규범을 뜻한다. 莊子장자의 어부편에其用于人理也 事親則慈孝 事君則忠貞의 설명이 나온다. 

 
同歸동귀는 그 목표가 서로 같다, 같은 목적지에 이르다는 뜻이다.


掩乎엄호는 掩엄은 覆, , , 엄폐掩蔽 즉 덮다, 가리다의 뜻이다. 사람이 죽음의 침상에서 임종을 하면 하얀 천으로 얼굴을 가린다. 엄호는 닫힌다 뜻이고, 원천은 벽락황천 즉 하늘을 뜻하는 단어이다. 하늘이 닫힌다 말은 해가 황혼녘에 서쪽 하늘로 넘어가는 순간 곧 죽음을 뜻한다. 성경의 말씀으로 이해하면, 마태복음 3:16하늘이 열리고라는 부활과 반대되는 개념 즉 역대하 6:26하늘이 닫히고의 죽음을 의미한다. 영어 번역은, When the heaven is shut up. 한편 엄호는 嚴乎엄호와 같은 뜻 즉 儼然엄연하고 장중하다, 장엄莊嚴하다는 뜻으로 새길 수 있다. 嚴乎는 장자의 추수편에 나오는 嚴乎若國之有君 其無私德의 의미를 참고할 만하다.

元泉원천은 하늘나라 즉 碧落黃泉벽락황천을 뜻한다. 碧落벽락은 도교에서 만물의 기원인 하늘의 제일천, 碧霞滿空벽하만공을 지칭한다.

 
元은 元首원수에서와 같이 머리의 뜻, 元旦원단에서와 같이 始의 뜻, 元氣 元素에서와 같이 기본, 根本의 뜻이 있다. 元泉의 동의어로는 淵泉연천, 深泉심천이 있다. 장자의 전자방에깊은 연못에 들어가도 물에 젖지 아니하며뜻의 入乎淵泉而不濡 구절이 나온다. 列子열자의 黃帝황제편에 心如淵泉 形如處女의 문장이 나오는데, 淵泉연천은 사물내에 포함되어 있는 심원한 근본을 뜻한다. 영원히 샘솟는 생명수이고, 노자도덕경의 谷神不死是謂玄牝玄牝之門是謂天地根의 설명과 같이 현빈이다. 하늘도 푸르고 바다도 푸른다.  하늘은 바다에 비추어 보인다. 한없는 하늘을 떠다니는 것은 배가 바다를 항해하는 모습에 비유된다. 만년설국 빙하 바위산에 올라가면 폭포수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느낌을 받는다. 이곳 폭포밑에 서 있으면 하늘로 승천하는 것같은 착시를 경험한다. 元泉원천은 그리스와 로마 제국의 하데스 Hades 개념, 단테의 신곡 파라다이스에 나오는 영원한 샘물 eterna Fontana 분수대의 개념과 상통하는 말이지만, 지하무덤 심연 abyss과는 반대로, ‘하늘나라 벽락황천의 개념임을 참고하라.
 
夫亦何恨矣
죽음은 하늘나라-본래의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것, 그것이 엄연한 진리이거늘! 따라서夫亦何恨矣구절을 번역하면, “내 어찌 무슨 여한이 남아 있다고 말할 수 있을텐가!”
10 皇太子治 大孝通神 自天生德 累經監撫 熟達機務
  李治는 649년 당태종이 죽은 지 오일 뒤 이십세의 나이로 황제에 올랐고, 683 56세에 세상을 떠났다. 시호는 高宗天皇大聖大弘孝皇帝(고종 천황 대성 대홍효황제)이다.
 
至孝는 大孝대효 지극한 효성을 뜻한다.  
 
通神통신은 神靈신령이 통하다는 말로 재능이 비범하다는 뜻이다. 
 
天生천생은 천연天然적으로 생성生成된 것, 스스로 자연적으로 만든 것을 뜻한다.
 
監撫감무는 監察安撫감찰안무의 준말이다.  공영달의 소에 命爲太師之公者皇父使之監撫軍衆 구절이 나온다. 태자는 행정부를 감찰하고 군대를 안무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機務기무는 국가의 중요한 군사 기밀을 말한다.

'문무대왕릉비 연구-제4권-역사혁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태종 유조문 해석-7  (0) 2025.04.22
당태종 유조문 해석-6  (0) 2025.04.22
당태종 유조문 해석-4  (1) 2025.04.22
당태종 유조문-3  (0) 2025.04.22
당태종 유조문 해석-2  (0)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