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6 왜 역사학에서 정치 권력의 역사만이 주로 선택되었고 종교나 문학의 역사는 빠졌을까 왜 역사학에서 정치 권력의 역사만이 주로 선택되었고 종교나 문학의 역사는 빠졌을까? “사람들은 인류의 역사에 관하여 말하지만 그들이 의미하는 것과 그들이 학교에서 배운 것은 정치권력의 역사이다. 인류의 역사란 없다. 있다면 인간 삶의 모든 면에 관한 여러가지 역사가 있을 뿐이다. 여러 역사 중의 하나가 정치권력의 역사다. 그런데 이것이 세계의 역사라고 승격되어 있는 것이다.”[1] 이 인용된 견해를 피력한 칼 포퍼의 책에서 많은 사례를 들어 설명해주듯이, 역사서는 실제 일어난 사건 대신 이념에 따라 구성하거나 사실을 무시하거나 사건을 선택하여 쓰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왜 문학은 역사에 등장하지 못할까? 이에 대한 포퍼의 설명을 더 들어보자. “왜 권력의 역사만 선택되었고, 예를 들어, 종.. 2025. 4. 17. 학제간 통합 연구의 필요성 학제간 통합 연구의 필요성 최근 통섭(通攝, 統攝)이라는 말 또한 흔히 쓰인다. 폭넓은 상식과 깊은 전문성이라는 말은 사람의 두뇌의 제한성을 인정한다면 이 둘은 상호 배타적인 성격을 갖는 성격인지도 모른다. ‘전문가의 함정’이라는 개념에 수긍하기도 한다. 한편 자기 분야의 전문 영역에서 깊은 전문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도 폭넓은 상식과 다양한 추세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절실하게 필요한 것 같다. 사마천은 임소경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通古今之變成一家之言”(통고금지변 성일가지언)이라고 말했는데 이 말은, 고금의 변화를 두루 살피고 통달하여서 자신만의 독특한 저술을 완성해 냈다는 뜻이다. 사마천 이후 2천년이 지난 지금에서는 과거와 당대 뿐만아니라 동서양과 나라안과 국제적인 상황까지 살펴보지 않을 수 없는 즉 東西.. 2025. 4. 17. 연구 방법론 연구 방법론 연구방법론의 독립성 또한 앞에서 꺼낸 연구의 자기 독립성과 비당파성의 원칙이 적용된다. 황우석 같은 부정한 연구자가 등장한 한국의 부끄러운 현실을 감안할 때 연구자가 자기 자신을 속이는 것을 용납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자기 독립성의 원칙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을 스스로 속여서는 아니된다. 영국의 전통적 교육 방법에서 이런 진실을 추구하고 거짓을 배제하는 원칙이 우선적으로 어린이 초등 학교 교육에서부터 강조된다. 역사는 예술인가 과학인가의 논쟁에 대해서는 이미 잘 정리되어 있다.[1] 역사적 탐구의 목적은 단순히 사실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해석하는 데 있고,[2] 또 데이비드 흄의 다음과 같은 견해를 보더라도 역사는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 “인간은 시대나 장소를.. 2025. 4. 17. 지적 독립성 지적 독립성, 당파성 배제 원칙, 자기 책임 원칙 당파성을 극복하지 못했기에 조선이 망한 것이 아닌가?[1]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 보자 한강수야 그 피눈물을 흘린 병자호란과 시일야방송대곡의 한일병탄을 막지 못한 원인이 그것 아닌가? 그래서 이스라엘 건국의 국부 벤 구리온은 말했다. 지식인의 지적 독립성을 잃게 되면 나라가 망한다는 것. 왜 나라가 망한다고 본 것인가? 그것은 최후의 보루이기 때문이다. 아키라 구로사와의 “난”의 영화에서의 불타는 천수각이 최후의 보루가 아니다. 울산왜성에서부터 순천왜성까지 천수각은 모두 없어졌지만 일제의 침입은 한국을 집어 삼키고 말았다. 이승만대통령의 친필이 남아 있는 남한산성의 수어장대는 아직도 건재하지만 삼전도의 눈물을 막을 수 없었다. 전쟁의 대작전계획은 먼 장막에.. 2025. 4. 17. 리서치의 개념과 연구 윤리 책임 I. 리서치 조사 연구 원칙, 방법론, 연구성과 사회 공헌도 리서치의 개념과 연구 윤리 책임 조사연구란 체계적인 학문과 사고작용, 관찰과 실험을 통해 습득되는 지식을 탐구하는 것을 말한다. 각방면의 학문마다 방법론은 다를 수 있으나 모든 학문은 우리 인류 자신과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동기와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1] 조사연구는 모두가 소유하는 공동 기업의 작업과 같으며, 교육기관과 기업체 또는 다른 유형의 단체에서 수행된다. 조사연구는 직간접적으로 협력과 공동작업이 수반되므로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는 경우가 흔하다. 연구영역과 문제제기를 정하고 이론을 수립하고 실제적 증거를 수집하고 적합한 방법론을 고안하는 학문의 자유가 조사연구의 토대.. 2025. 4. 17. 왜 많은 사람들이 창의적인 자신만의 생각을 해내지 못할까 3.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비판적 사고나 창의적 사고 체계를 함양하지 못한 이유 중에는 지금까지 행해진 학교 교육의 잘못된 방향과 식민지 교육의 목적론과 방법론이 자리잡고 있다고 단언해 볼 수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검토는 나의 이 책에서는 다루지 않았으며, 다만 비판적 사고의 개념 그리고 소크라테스 방법론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다. 신선놀음 바둑두기 같은 게임에 몰두할 때 ‘시간가는 줄 모른다’는 야단을 맞은 적이 있는데 이런 때 사용하는 말로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爛柯(란가)라는 속담이 있다. 상전벽해가 되는 변화무쌍한 인간세상에서 침잠하고 성찰하는 일이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잘못하다간 나르시스트처럼 우물안으로 빨려 들어 가고말 위험성이 크다. 변.. 2025. 4. 17. 탐구 학습 교육 방법론과 소크라테스 질문법 2. 탐구 학습 교육 방법론과 소크라테스 질문법 카아가 역사는 대화의 과정이라고 말했는데, 대화는, 소크라테스가 메논과 서로 질문하고 대답하며 전체를 이어가듯이, 질문의 방법으로써 이뤄진다.[1] 이런 카아의 역사 방법론은 본질적으로 소크라테스의 질문법에 해당한다. 소크라테스 방법론은 전통적인 영국의 교육방법론에 적용되어 왔는데, 존 듀이의 교육론 그리고 최근에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탐구 학습 방법론 또한 이를 적용한 교육론이다. 소크라테스 질문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잠깐 설명해 보기로 한다. ① 첫 번째 단계는 상대방의 주장이 무엇인지 그 핵심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소크라테스는 “정의란 무엇인가?” 등과 같은 근원적인 질문을 하였다. 나의 책에서 ‘문무왕의 유언은 무엇인가?’라고 핵심질문을.. 2025. 4. 17. 역사 교육 방법론의 부실 (1) 역사 교육 방법론의 부실 1. 역사를 보는 시각과 관점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 추억과 욕정을 뒤섞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는 엘리어트의 인구에 회자되는 황무지[1] 싯구를 다시 생각해 본다. 다음 사진은 언젠가 여행을 하면서 Spring umbrella 봄우산[2] 그림을 보고 스마트폰으로 찍어 둔 것이다. 다음 그림은 심리학 교과서 설명에 흔히 등장하는 그림이다. 늙은 할머니로 보이는가? 젊은 아가씨로 보이는가? 뉴튼이 말했듯이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 타서야 멀리 또다른 세계를 내다 볼 수 있다. 물이 반짝 들어찬 컵인가 아니면 반이 비어있는 물컵인가의 “프레임” 관점[3]으로 유명한 비유는 익히 이해하기 쉬울 테지만 한국인들에게는.. 2025. 4. 17. 식민지 사학과 주체 상실 (1) 식민지 사학과 주체 상실 ① 북방민족의 식민지 지배로 전락한 고려시대 때 쌓인 역사 조작의 적폐 고려시대부터 북방민족의 식민지 지배로 전락한 후 식민지 기생 아부세력이 역사를 조작한 적폐가 쌓여진 결과 참된 한국사를 재발견하고 성찰할 기회를 상실하고 말았다. 935년 천년왕국 신라가 망한 후 중세암흑기 고려를 엎은 조선은 세종대왕의 르네상스를 구가했다가 단종애사 군사쿠데타를 겪은 후 결국 임진왜란을 당하고 말았고, 그 결과 왜란 후 40년도 안되어 1636년 병자호란의 치욕을 다시 겪고 북방 오랑캐 청나라의 식민지로 전락하여, 약 반오백년 동안 만주족의 청나라의 지배 아래 신음하다 끝내 1876년 강화도조약을 통해 일제에 굴복하고 1910년 병탄당했다. 당나.. 2025. 4. 17. 이 책의 주요 요약 I. 들어가기 1. 이 책의 주요 요약 삼국사기가 기술한 문무왕의 유조문은 당태종 유조문을 도용하고 표절한 역사 조작의 범죄행위에 해당한다. “역사 혁명”-이 책은 현재까지 초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 그리고 대학과 연구학계가 지금까지 쌓아온 한국사의 내용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한국사의 진실된 내용을 설명한다. 삼국통일의 대업을 달성한 태종무열왕과 문무대왕에 관한 “삼국사기”의 기사는 삼국사기 전체 분량의 대략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또 그만큼 한국 역사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 문무대왕은 실로 백대에 한 명 나올까 하는 현명하고 영명한 군주이고, 실로 천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한 천년의 민족 지도자이다. 文은 사람들을 보듬고 크게 베풀고 아끼고 사랑.. 2025. 4. 17. 서문 책을 발간하면서 서문 대영제국을 건설한 영국 사람들은 역사의 귀감이 되기에 충분하다. 미국을 오늘날의 세계대제국으로 만든 가장 큰 일등 공신은 미국이 영국의 사법체계를 따랐다는 사실에서 나온다. 영미법 국가의 근간은 사법부가 행정부의 모든 행위를 최종적으로 심판할 수 있는 “사법 심사” 제도이다. 이는 한마디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것을 재판을 통해서 바로잡을 수 있는 체제임을 말한다. 영국이나 미국은 역사상 프랑스혁명 같은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다. 영미국은 중국이나 한국의 잦은 왕조 교체같은 큰 반란들이 일어날 틈 자체를 주지 않았다. Why?[1] 영미국에서는 행정부가 잘못한 점이 발견되면 사법부가 그때그때마다 즉시로 바로잡을 수 있는 사법국가 시스템이 작동되는 즉 국정이 행정부 단독이 아니라 사법.. 2025. 4. 16. 일러두기 일러두기 ① 『위대한 한국 문무대왕릉비 연구 제1권-비문앞면』② 『문무왕릉비 비문 연구 제2권-비문뒷면』③ 『투후(秺侯)는 누구인가?-문무왕릉비 연구 제3권』④ 『역사 혁명: 문무대왕 유언 비밀 해제-문무왕릉비 연구 제4권』 1. 이 책의 저자 추홍희는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영미판례법국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로스쿨을 졸업하고,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호주 변호사가 되었으며, 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러한 저자의 교육 배경과 실무와 학교 외부에서 쌓은 지식의 배경으로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학술 연구 조사 능력을 축적했다고 스스로 생각한다. 2. 이 책을 씀에 있어 저자가 한문.. 2025. 4. 16. 역사 혁명: 문무대왕 유언 비밀 해제-목차 역사 혁명: 문무대왕 유언 비밀 해제 차례 ...................................................................................................... 장절 내용쪽 0 일러두기11 책을 발간하면서15 1 들어가기23 1. 이 책의 주요 내용 요약23 (1) 삼국사기 문무왕의 유조문은 당태종 유조문을 도용하고 표절한 것 (2) 심각하고 중대한 도용과 표절의 범죄행위가 미치는 영향과 범위 (3) 왜 여지껏 삼국사기 문무왕 유조문의 도용과 표절 사실이 밝혀지지 못했을까?30 a식민지 사학과 주체 상실 -식민지 지배로 전락 & 역사 조작의 적폐33 b역사 교육 방법론의 부실3.. 2025. 4. 16. 『역사 혁명: 문무대왕 유언 비밀 해제』 『역사 혁명: 문무대왕 유언 비밀 해제』 책 주요 내용 요약 이 책에서 밝혀내는 역사적 진실은 고려시대 김부식 일당이 삼국사기를 쓰면서 역사 조작을 범했다는 사실을 밝히는데 직접적이고 결정적인 증거로 쓰여진다. 문무왕릉비 비문 내용에 대한 정확한 번역과 이해를 통하여 삼국사기가 기술하고 있는 부분과의 차이점을 들추어내고 역사의 진실을 밝힌다. 삼국사기의 문무왕 유조문이 당태종의 유조문을 도용하였다는 조작과 표절의 범죄 행위라는 사실을 밝혀내면 그것은 삼국사기의 역사 조작의 범죄를 규명하는 결정적인 증거 스모킹건(smoking gun)이 된다. 삼국사기의 문무왕 기사에서 문무대왕의 유조라고 소개한 유조문 전문의 전체 글자수는 350자이다. ① 이 중에서 238여 글자의 내용이 거의 전부 당태종 유조문을 그.. 2025. 4. 16. 『문무왕릉비 연구-비문 뒷면』 주요 내용 『문무왕릉비 비문 연구-비문 뒷면』 책 주요 내용 요약 1. 이 책은 국사편찬위원회의 문무왕릉비 비문 번역 해석에 대해 통렬하게 정면 비판하고 새롭고 올바른 해석을 제시한다. 문무왕릉비는 682년에 건립되었는데, 1796년 경주에서 문무왕릉비 비문 파편이 발견되기 전까지 역사상 실종된 상태였다. 문무왕릉비 파편이 발견된지 약 220년 후 그리고 문무왕릉비가 건립된지 1338년이 지난 후인 2020년 오늘에서야 저자의 문무대왕릉비 비문 연구 책을 통해서 문무대왕릉비 비문 내용에 대한 정확한 번역과 해석과 내용이 밝혀지게 되었다. 따라서 저자는 지금까지 잘못된 번역과 해석이 게재된 국사 교과서의 내용 서술에 대해서 그것들이 즉시 수정되기를 담대하게 요구한다. 저자는 문무왕릉비 비문의 내용을 역사적 사료에 근.. 2025. 4. 16. 『문무왕릉비 연구-비문 앞면』 주요 내용 요약 『위대한 한국 문무왕릉비 연구-비문 앞면』 책 주요 내용 요약 ①문무대왕릉비 비문앞면3행의 “鯨津氏”(경진씨)는 문무왕의 아버지인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지칭한다. “鯨津氏”(경진씨)가 신라 제29대왕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지칭한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반만년 한국사의 최대의 미스터리가 풀리게 되었다. ②비문뒷면20행에 나오는 “粉骨鯨津”(분골경진)은 나라를 위해 “분골쇄신한 경진씨”라는 뜻이다. 粉骨鯨津(분골경진)은 국편위의 해석대로의 “경진에 뼛가루를 날리셨네”라는 뜻이 아니다. “鯨津”(경진)은 지금까지 다수가 해석하는대로의, ‘어느 바닷가 포구’를 말하는 지명이 아니다. “鯨津”(경진)은 문무대왕릉비 비문앞면3행의 “鯨津氏”(경진씨)를 지칭한다. “嗣王允恭”(사왕윤공)의 의미대로 문무대왕이 태종.. 2025. 4. 16. English abstract English abstract Koreans are descents of “Toohoo”(秺侯) as it is written in the inscription on the tomb of King Moonmoo. Who were the ancestors of the Korean people? The purpose this book is to seek a historical answer to this bold question about the Beginnings of Korea's History. This book draws the historical conclusion that “Toohoo”(秺侯) is “Sanggu Sung”(商丘成), not “Kim Ilje”(金日磾). This book tran.. 2025. 4. 16. 마무리 18. 마무리 한국인은 문무대왕릉비문 속에 적혀 있는대로 “秺侯祭天之胤”(투후제천지윤)이다. 한국인의 선조 “투후”(秺侯)는 누구인가? 이 담대한 의문에 대한 역사적인 해답을 추구한 것이 이 책의 발간 의도이고 주된 내용이다. 이 책은 “秺侯”(투후)는 金日磾(김일제)가 아니라 秺侯 商丘成(투후 상구성)이라는 역사적인 결론을 이끌어내고 이를 입증하는 역사적 기록들을 한글로 번역해석하고 논했다. 투후 상구성임을 가장 결정적으로 증거하는 반악의 서정부에 나타난 “秺侯之忠孝淳深”(투후 지충효순심) 단락을 번역 해석하고 논했다. 당나라 이선의 문선 주해에서는 투후를 ‘김일제’로 해석했지만 추홍희는 투후는 ‘상구성’을 지칭한다고 주장하며 이선의 주해를 자세하게 반박하였다. 또 당나라 이선은 “被髮左袵奮迅泥滓”(피.. 2025. 4. 16. 일본의 한반도 침략 일본의 한반도 침략 역사의 배경 역사상 일본은 한반도를 대략 4번 침입했는데, 그 첫 번째가 신공황후의 한반도 남부 도래, 두 번째가 백제 멸망직후 백제의 재건을 노린 오늘날 장항 군산 지역인 백천강 전투, 3번째가 풍신수길의 임진왜란이었고, 4번째가 한일합방으로써 조선을 식민지 지배에 성공하게 된 역사적 과정이 있다. 한일합방은 일본의 침략 입장에서 완전한 성공을 거둔 일이었는데 그것은 실패했던 임진왜란을 교훈삼아 오랜 시간에 걸쳐서 군사적 공격의 필요 없이 상대방의 실수와 물밑 작업을 통하고 점진적인 방법으로써 목적을 이뤄낼 수 있었다.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첫 번째 한반도 남부 접근로 확보를 목적으로 했던 신공황후 때의 출병은 목적 달성에 반반의 성공을 한 것으로 간주되고, 두 번째의 출병은 당나.. 2025. 4. 16. 47인 아코 무사 할복 사건 “충신장” 제1막 내용 “충신장” 제1막 무대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은 무로마치 막부 말기 스루가오카 하치만궁에서 벌어진 일이다. 제1막의 무대 배경은 학이 소나무 언덕을 노닐고 있는 병풍 그림이 있는 “鶴岡八幡宮”(스루가오카 하치만궁)에서 벌어진다. “충신장” 제1막의 내용을 짧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역사적으로, 1338년 2월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닛타 요시사다를 토벌하고 교토에 거처를 마련한다. 다카우지는 가마쿠라에 스루가오카 하치만궁을 짓고 동생 아시카가 다다요시를 파견 진주시켰다. 이 궁을 지키고 있는 책임자는 고노 모로나오, 모모이 와카사노스케, 엔야 한간이다. 이 등장인물들은 역사적으로 실제 인물들이고, 충신장의 이야기는 가마쿠라 막부 시대를 기록한 “태평기”의 내용에 바탕을 두고, 1701-.. 2025. 4. 16. 충신장 서두에 인용된 육가의 신어 17 충신장 서두에 인용된 육가의 신어 아무리 진수성찬을 차려도 먹지 않는다면, 그 음식은 맛을 알 수가 없다- 雖有嘉肴 弗食不知其旨也“아무리 진수성찬을 차려도 먹지 않는다면, 그 음식은 맛을 알 수가 없고, 쓸모없이 버려지고 만다.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도 이와 같으리라. 비록 평화의 시기라기는 해도 무사의 국가에 대한 충성과 담대한 용기가 알려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하늘의 별은 낮에는 해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밤에는 온 하늘에 흩어져 총총히 빛나고 있다는 분명한 사실을 생각해 보라.”[1] “雖有嘉肴,弗食,不知其旨也;雖有至道,弗學,不知其善也。是故,學然後知不足,教然後知困。知不足,然後能自反也;知困,然後能自強也。故曰:教學相長也。《兌命》曰:「學學半」其此之謂乎?”, 《禮記·學記》, 禮記卷十八. 이 “예기.. 2025. 4. 16. 문무왕릉비 비문 원문 16. 문무왕릉비 비문 원문 비문 앞면 □□□□國新羅文武王陵之碑 及飱國學少卿臣金□□奉□敎撰□□□□□□□□□□□□通三後兵殊□□□匡□配天統物畫野經圻積德□□匡時濟難應神□□□□□靈命□□□□□□□□□□□□□□□派鯨津氏映三山之闕東拒開梧之境南鄰□桂之□□接黃龍駕朱蒙□□□□承白武仰□□□□□□□□□□□□□□閒盡善其能名實兩濟德位兼隆地跨八夤勲超三□□巍蕩蕩不可得而稱者□□□□我新□□□□□□□□□□□□□君靈源自敻継昌基於火官之后峻構方隆由是克□□枝載生英異秺侯祭天之胤傅七葉以□□□□□□□□□□□焉□□ 十五代祖星漢王降質圓穹誕靈仙岳肇臨□□以對玉欄始蔭祥林如觀石紐坐金輿而□□□□□□□□□□□□大王思術深長風姿英拔量同江海威若雷霆□地□□□方卷蹟停烽罷候萬里澄氛克勤開□□□□□□□□□□□□□□□當簡□之德內平外成光大之風邇安遠肅□功盛□□□於將來.. 2025. 4. 15. 문무왕릉비문 "秺侯 祭天之胤" 투후 제천지윤 해석 15 문무왕비문 비문앞면 제5행 秺侯 祭天之胤 투후 제천지윤 □□□□□□□□□□□□□□君靈源自敻継昌基於火官之后峻構方隆由是克□□枝載生英異秺侯祭天之胤傅七葉以□ 국편위 번역: … 그 신령스러운 근원은 멀리서부터 내려와 화관지후(火官之后)에 창성한 터전을 이었고, 높이 세워져 바야흐로 융성하니, 이로부터 ▨지(▨枝)가 영이함을 담아낼 수 있었다. 투후(秺侯) 제천지윤(祭天之胤)이 7대를 전하여 … 하였다. 추홍희 해석: (우리 신라 사람들은 삼황오제의 후손들이다). 까마득한 옛날까지 올라가서 조상의 뿌리를 찾으면, 창성한 왕업을 화관지후에게 이어받게 하고, (불의 임금님-화후는 요임금인데, 제곡 고신씨는) 요임금님에게 왕위를 물려 주었다.) 방정하고 드높은 구조물들을 건설하며 사방으로 반듯하게 뻗어 나갔다.. 2025. 4. 15. 유득공의 "투후 제천지윤" 해석 1. 유득공의 투후 제천지윤 해석 유득공(柳得恭)은 그의 古芸堂筆記(고운당필기)권6에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𥞒侯 祭天之胤 傳七葉 云云 依倚考其上下文義 似敍其世次也 然則以鷄林之金爲金日磾之金歟” (투후 제천지윤 전칠엽 운운 의의고기상하문의 사서기세차야 연즉이계림지금 위김일제지금여)이 구절은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𥞒侯 祭天之胤 傳七葉”(투후 제천지윤 전칠엽)이라는 구절을 적고 있는데 이 문장의 앞 뒤 선후 관계를 따라 문장의 뜻을 살펴보면 아마도 조상의 세대를 적고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金日磾의 金이 계림(鷄林)의 김(金)이지 않을까?” 유득공(1748-1807)의 견해는 1760년 영조(재위 1725-1776) 36년 경주부윤이 된 이계(耳溪) 홍양호(1724-1802)가 탁본한.. 2025. 4. 15. 투후는 𥞒侯(투후)인가 14. 투후는 𥞒侯 (투후)인가? 1. 𥞒侯 (투후/타후) 金日磾(김일제)북송(宋) 때 977-984년 사이에 편찬된 사서 太平御覽(태평어람)의 관직(職官部) 시중(侍中) 편에서 金日磾(김일제)를 𥞒侯(투후)로 봉했다는 삼보고사의 기사를 인용해 놓았다: 《三輔故事》曰 金日磾字翁叔 封𥞒侯 有忠勤之節 七葉侍中 (삼보고사 왈 김일제 자 옹숙 봉 투후 유 충근지절 칠엽시중).金日磾字翁叔 封𥞒侯 有忠勤之節 七葉侍中김일제의 본명 이외의 흔히 부른 이름 자는 옹숙이었고 𥞒侯(투후)의 봉작을 받았다. 그는 충성심이 깊고 마음을 다해 성실하게 근무한 예의를 갖춘 사람이었고 왕을 지근거리에서 보살피는 궁정내시라는 높은 관직을 지냈다. 시중(侍中)시중(侍中)은 진(秦)나라 때부터 설치한 관직이름으로 왕의 .. 2025. 4. 15. 영조 실록 김일제 거론과 탕평책 11. 영조 13년 김일제 거론과 탕평책영조실록 45권, 영조 13년 윤9월 3일 무오 2번째기사 1737년 청 건륭(乾隆) 2년주강과 석강을 행하다. 인재 등용을 위해 임금이 자성할 것을 다짐하다 영조실록 45권, 영조 13년 윤9월 3일국편위 번역行晝講 又行夕講 上曰:주강(晝講)을 행하고, 또 석강(夕講)을 행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今世取人 專以門閥科甲 如是而得人才乎 朝著之間 亦必有可用之材 而予旣無恭默思道之誠 不能得築巖之良弼 又乏則哲之明 不能如漢帝知金日磾 是宜自反 而以人事君 專在廟堂 其勉之"지금 세상에서는 사람 뽑는 것을 오로지 문벌(門閥)과 과거(科擧)로 하는데, 이렇게 하여 인재를 얻을 수 있겠는가? 조정 사이에 또한 반드시 쓸 만한 인재가 있을 것이나, 내가 이미 공묵(恭默)하게 도(道)를 생각.. 2025. 4. 15. 김일제 충효순심 한조막급(金日磾忠孝淳深 漢朝莫及) 해석 10. 宋書와 南史의 두기(杜驥)전에 기록된 김일제 충효순심 한조막급(金日磾忠孝淳深 漢朝莫及) 해석 유유(劉裕, 363-422): 송무제(宋武帝) 405년 환현(桓玄)을 격파하고 420년 송(420-479년)나라를 건국하고, 권문세가를 누르고 강력한 중앙집권책을 추구했다. 전란으로 시대가 혼미하고 인구이동이 잦았던 남북조 시대에 막차를 타고 남쪽으로 이주해온 두기 형제는 권문세족으로서 유명한 서진의 진남장군 두예(杜預, 222-285)의 후손이었고 군벌 유유(劉裕)의 정벌에 참여하였지만 전전하며 막차를 탄 바람에 권력의 핵심부에 진입하지 못함을 탄식했다. 어느날 유송의 3대 황제 유의륭(宋文帝劉義隆, 407-453)과 김일제에 대한 대화를 나눴는데 다음과 같다. 《宋書》 沈約(441-513, 蕭梁),《.. 2025. 4. 15. 우희제 “石碏論” 9. 우희제(牛希濟, 872년─?), “石碏論” 衛莊公寵州吁也,且又縱之。石碏諫曰:「臣聞愛子,教以義方,弗納於邪。驕奢淫佚,所自邪也。四者之來,寵祿過也。君若與之即將定,若猶未也後將悔。」公不聽,州吁竟殺其君而自立。石碏之子厚與籲遊,禁之不可。春秋之世,有弒君之子,或朝於王,預諸侯之盟,不複加討。是以厚問定君於石子,曰:「王覲為可。」曰:「何以得覲?」曰:「陳桓公方寵於王,若朝陳使請,必可得也。」厚從州吁如陳。石碏使告於陳曰:「衛國褊小,老夫耄矣。此二人者,實弒寡君,敢即圖之。」陳人執州吁於濮。石碏使其宰獳羊肩蒞殺石厚於陳。君子曰:「石碏純臣也。愛其君而厚與焉,大義滅親。」其是之謂乎?父子之道,天性也;君臣之道,人義也。石子諫莊公也以義方,教子厚之為也,無義方之訓哉。且厚非弒君之謀,為亂之首,州吁既立,仍從之遊,州吁之為君也,命石子遊。必將從之,況於厚乎?己為大臣,國有亂賊,而.. 2025. 4. 15. 宋書 傅隆전 “秺侯何得流名百代”(투후하득유명백대) 8. 송서(宋書) 부융(傅隆)전 “秺侯何得流名百代”(투후하득유명백대) 의미 해석 대의멸친의 봉건법 질서를 석작과 김일제를 예로 들고 설명하고 있는 송서 부융전 기록을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宋書·傅隆傳》“秺侯何得流名百代” 구절번역 해설 傅隆(부융)(369-451년): 남조 송(宋)나라 때 문신. 남조 송나라는 군벌세력인 송무제 유유(363- 422년)가 동진을 쓰러뜨리고 세운 나라로 420- 479년간 존속했다. 將父子孫祖 互相殘戮 懼非先王明罰 咎繇立法之本旨也 向使石厚之子 日磾之孫 砥鋒挺鍔 不與二祖同戴天日 則石碏 秺侯何得流名百代 以為美談者哉부자지간에 할아버지와 손자지간에 서로 죽여야 하는 그런 상황에서도 형벌을 엄격하게 적용하지 않을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고도씨가 법을 만든 근본적인 취지였다. 예컨대.. 2025. 4. 15. 한서 김일제전 번역 6. 한서 김일제전 번역 김일제는 어떻게 투후가 되었는가?BC 121년 여름. 곽거병이 이끄는 한나라 군대는 기련산 일대를 공략하여 혼야왕과 휴도왕에게 큰 타격을 가했다. 3만 이상을 사살하고 수천명을 포로로 노획했다. 흉노의 선우가 패배에 대한 책임을 혼야왕과 휴도왕에게 묻자 이들은 한나라에 투항하기로 작정하였다. 투항하기 전에 휴도왕이 마음을 바꿔 동조하지 않자 혼야왕이 휴도왕을 살해하고 4만여명의 흉노족을 이끌고 곽거병군에게 투항하였다. 이때 휴도왕의 태자인 일제(日磾)와 그의 동생 윤(倫)이 어머니와 함께 한나라로 잡혀왔다. 이들은 교외 밖에서 궁정용 말을 키우는 노예의 천한 일을 맡았다. 그러던 중 무제가 연회를 베풀며 달리는 말을 사열하는 과정에서 꼿꼿한 자세를 견지한 일제를 발견하고 그를 궁.. 2025. 4. 15.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